유통

스타벅스, 텀블러 세척기 전국 600개 매장에 도입한다

기사입력 2024.05.27 16:21
  • 스타벅스 코리아가 환경부와 함께 다회용 컵 사용 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고, 텀블러 세척기를 전국 매장에 도입한다고 27일 밝혔다.

    스타벅스는 이번 업무 협약을 바탕으로 개인 다회용 컵 이용 활성화와 이를 위한 실질적인 고객 참여를 높이기 위해 실용성과 편의성, 그리고 환경성을 모두 고려한 방향으로 재정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우선 고객이 손쉽게 개인 다회용 컵을 관리할 수 있도록 2026년까지 텀블러 세척기를 전국 모든 매장에 순차적으로 도입한다.

  • 스타벅스는 5월 27일 스타벅스 종로R점에서 텀블러 세척기 설치 확대, 관련 캠페인 추진 등 다회용 컵 사용 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환경부 한화진 장관(왼쪽 두 번째), 스타벅스 손정현 대표이사(왼쪽 세 번째), LG전자 이현욱 부사장(오른쪽 두 번째), 자원순환사회연대 김미화 이사장(오른쪽 첫 번째)이 텀블러 세척기 앞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스타벅스
    ▲ 스타벅스는 5월 27일 스타벅스 종로R점에서 텀블러 세척기 설치 확대, 관련 캠페인 추진 등 다회용 컵 사용 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환경부 한화진 장관(왼쪽 두 번째), 스타벅스 손정현 대표이사(왼쪽 세 번째), LG전자 이현욱 부사장(오른쪽 두 번째), 자원순환사회연대 김미화 이사장(오른쪽 첫 번째)이 텀블러 세척기 앞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스타벅스

    앞서 스타벅스는 지난해부터 4개 매장에서 텀블러 세척기를 시범 운영하며 이에 따른 고객 만족도 및 참여율, 운영 효율성 등을 테스트한 바 있다. 그 결과, 텀블러 세척기를 운영하는 매장은 일평균 개인 컵 이용 건수가 세척기 도입 이전에 비해 약 30%가 증가했다. 일반 매장에 비해서는 평균 개인 컵 이용 건수가 17% 높은 등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오는 7월부터 제주, 세종, 서울 일부 매장을 시작으로 올해 연말까지 약 600개 매장을 목표로 텀블러 세척기 본격 도입에 착수한다. 이후 매년 순차 도입을 통해 3년 내에 전국의 모든 스타벅스 매장에서 텀블러 세척기를 전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전체 음료 주문 건수 중 7% 수준의 개인 다회용 컵 이용 건수를 2026년까지 2배 이상의 비중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보다 많은 다회용 컵 사용 참여를 장려하고자 관련 캠페인을 강화해 나간다.

    스타벅스의 개인 컵 이용 건수는 지난해에만 약 2940만 건으로 3000만 건에 육박했으며, 스타벅스가 개인 컵에 대한 시스템 집계를 시작한 2007년부터 올해 4월까지 개인 컵 이용 건수는 누적 1억5000만 건으로, 약 642억원이 넘는 금액 혜택을 고객에게 제공했다.

    이번 전사 텀블러 세척기 도입 결정과 함께 제주, 세종에서 운영 중인 리유저블 컵 운영 매장들은 만 3년간의 시범운영을 6월 3일까지 진행하고, 텀블러 세척기 우선 도입 및 정부 정책에 따른 지자체 보증금제 참여 매장으로 전환한다. 서울 지역의 일부 시범 매장 역시 지자체 등 유관기관에서 도입예정인 일회용 컵 보상제 시범운영 매장으로의 전환을 적극 검토해 참여할 방침이다.

    스타벅스는 이번 텀블러 세척기 도입과 지자체 보증금 제도에도 적극 동참해 실질적으로 개인 컵 이용 참여 확대를 이뤄 나간다는 목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오늘 협약으로 음료를 매장 외로 포장하는 경우에도 다회용 컵 사용 문화 확산이 기대되며, 환경부도 정책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 이사장은 “다회용 컵 이용 독려를 위한 이번 스타벅스의 텀블러 세척기 전사 도입 결정에 큰 지지를 보낸다”라며, ”다회용 컵 사용 확대를 위한 노력에 많은 분들이 동참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손정현 스타벅스 대표이사는 “텀블러 세척기 협약을 통해 정부-기업-민간 단체가 함께 협업하여 일회용품 저감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하고, 더 나은 미래를 선도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원한다”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친환경 캠페인과 운영을 통해 환경을 위한 지역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기여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