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

AI로 ‘일하기 좋은 날’… 워크데이

기사입력 2024.05.23 21:59
연례행사 ‘워크데이 엘리베이트 서울 2024’ 개최
신뢰할 수 있는 AI로 직원 생산성 지원
  • 쉐인 루크(Shane Luke) 워크데이 AI·ML 기술 총괄 부사장은 워크데이가 제공하는 AI 솔루션의 신뢰도를 강조했다. /워크데이
    ▲ 쉐인 루크(Shane Luke) 워크데이 AI·ML 기술 총괄 부사장은 워크데이가 제공하는 AI 솔루션의 신뢰도를 강조했다. /워크데이

    워크데이가 인공지능(AI) 기술로 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발표했다.

    워크데이는 23일 서울 송파구에 있는 롯데호텔월드에서 연례행사인 ‘워크데이 엘리베이트 서울 2024(Workday Elevate Seoul 2024)’를 열고 한국 기업이 효율적으로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새로 부임한 정응섭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은 “한국은 2023년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세계 디지털 경쟁력 순위에서 6위를 차지할 정도로 강력한 디지털 인프라와 준비성을 가진 국가”라면서 “하지만 기존 관리 방식과 문화 장벽으로 인해 인력 생산성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직원은 비즈니스 성공의 핵심 요소지만 기존 인사관리(HR) 방식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계가 있다”며 “AI를 활용해 사용자 경험을 간소화하고 참여도를 높이며 결과적으로 직원 생산성 향상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워크데이 플랫폼은 HR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솔루션 핵심에 AI가 내장돼 있어 직원들이 각자 역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리스킬링, 업스킬링, 크로스스킬링 및 적재적소에 적합한 인재를 배치하는 일은 현대 비즈니스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이를 ‘스킬 기반 전략’으로 전환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이 바로 워크데이가 스킬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이유”라고 했다. 스킬 클라우드는 머신러닝(ML)을 활용해 직원의 직무 능력을 분석하고 적확한 직무를 탐색할 수 있게 돕는 솔루션이다.

  • 정응섭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은 “AI를 활용해 사용자 경험을 간소화하고 참여도를 높이며 결과적으로 직원 생산성 향상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워크데이
    ▲ 정응섭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은 “AI를 활용해 사용자 경험을 간소화하고 참여도를 높이며 결과적으로 직원 생산성 향상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워크데이

    이날 행사를 위해 방한한 쉐인 루크(Shane Luke) 워크데이 AI·머신러닝(ML) 기술 총괄 부사장은 워크데이가 제공하는 AI 솔루션의 신뢰도를 강조했다. “워크데이는 전반적인 워크데이 플랫폼의 일부로 AI를 구축하기 위해 다년간의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며 “우리 솔루션은 모든 고객이 동일한 버전의 워크데이를 사용하므로 모든 데이터는 일관된 구조를 따르며, 이를 통해 ML 모델을 학습할 수 있는 깨끗하고 일관된 데이터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워크데이 솔루션의 사용자는 6500만 명 이상이다. 연간 처리되는 트랜잭션은 8000억 건을 상회한다. 국내에서는 대한항공, 비바리퍼블리카, 무신사, 콜마홀딩스, 동화그룹 등이 워크데이를 사용하고 있고, 톰슨 라이터, HP 등 글로벌 고객사도 워크데이를 도입했다. 

    루크 부사장은 “워크데이는 자체 구축한 AI 모델과 파트너 모델을 모두 활용하여 워크데이의 AI 기능들을 최대한 영향력이 있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구현해줄 뿐만 아니라 파트너가 구축한 인증된 AI 애플리케이션을 AI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한다”면서 “고객이 타사 AI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강조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