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의원을 뽑는 날이다. 사람마다 지지하는 당과 인물이 다를 수는 있지만 모두가 더 잘 사는 세상, 서로 돕고 함께 걸어가는 세상을 위해 헌신할 수 있는 인물들이 당선되기를 기대해 본다.
-
위 그림은 모두 매를 주인공으로 그린 <가응도(架鷹圖)>와 <욱일호취도(旭日豪鷲圖)>다. 조선시대에는 매를 주인공으로 그린 작품이 적지 않다. 그중 조선 중기까지 매를 그린 그림들은 대개 횃대 위에 앉아 있는 사냥용 매를 그린 것이었다. 이런 그림을 <가응도>라고 한다. 횃대 위에 앉아 있는 자세에서 제법 맹금류의 위엄이 느껴지기는 하지만 줄에 묶인 매는 어딘지 모르게 야성(野性)을 잃은, 길들여진 모습이다. 조선의 임금은 신하들에게 <가응도>를 선물했다고 한다. 주인을 위해 사냥을 하는 매와 같이 충성하라는 의미로 읽힌다. 반대로 신하가 임금에게 <가응도>를 선물하면 충성을 다하겠다는 의미가 된다. <가응도>에서 매를 묶어 놓은 줄이 화려할수록 매가 고귀해 보이지만, 실은 매 주인의 신분이 높다는 것을 나타낼 뿐이다. 아무리 화려한 금줄에 매여 있어도 창공을 나는 자유로운 매와 어찌 비교할 수 있겠는가?
조선 후기가 되면 매를 묶은 줄도 사라지고, 매의 주민등록증인 시치미도 사라진, 자연 속의 늠름한 야생의 매를 그린 작품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 떠오르는 해를 배경으로 바닷가 바위에 홀로 앉아 있는 용맹한 매를 그린 그림이다. 자연계에서 매가 파도치는 바다 한가운데 바위에 홀로 서서 해를 맞이하는 광경을 보기는 쉽지 않다. 그렇다면 <욱일호취도>를 그린 작가의 의도는 무엇일까?
용맹스러운 수컷 매를 웅응(雄鷹, xióngyīng)이라고 한다. 웅응의 중국어 발음을 거꾸로 읽으면 영웅(英雄, yīngxióng)이 된다. 즉, 수컷 매는 영웅을 상징한다. 한 마리가 홀로 서 있으니 독립(獨立)이다. 그래서 한 마리 매를 그린 그림을 영웅독립(英雄獨立)이라고 읽는다.
영웅의 사전적 의미는 사회의 이상적 가치를 실현하거나 그 가치를 대표할 만한 사람이다. 조선 시대의 선비정신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리고 매는 새끼를 돌보는 동물을 먹잇감으로 노리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까닭에 매는 문무를 겸비한 이상적인 영웅을 상징한다고 여겨왔다. <욱일호취도>는 바로 영웅의 출현을 고대하는 그림인 것이다.
한 마리 매가 일출을 맞이하고 있는 모습이 조금은 외로워 보이지만, 고독한 영웅의 모습으로 보인다. 문득 “새로운 영웅이 나타날 때마다 지나간 악당이 그리워지는 이상한 세상”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지나간 악당도 처음에는 영웅이었을 게다. 알면서도 사람들은 늘 새로운 영웅이 나타나기를 기다린다.
※ 본 기사는 기고받은 내용으로 디지틀조선일보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관련뉴스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의사와 살구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까치와 매화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살구꽃과 제비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매미와 버드나무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대추와 밤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연꽃과 연잎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고양이와 나비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백로와 수세미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모란과 부귀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수탉과 명예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백로와 지혜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물고기와 독서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화병과 평안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소나무와 영지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코끼리와 목욕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수탉과 맨드라미꽃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복숭아와 석류, 불수감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동방삭과 복숭아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후예와 항아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수박과 덩굴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박쥐와 행복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박쥐와 복숭아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가지와 방아깨비
- [그림에도 궁합이 있다] 파초와 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