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춥고 건조한 겨울에 더 위험한 ‘천식’, 감기와 혼동 주의

기사입력 2024.02.12 07:00
  • 겨울철 춥고 건조한 공기의 영향으로 호흡기 질환이 기승이다. 특히, 고농도 미세먼지가 지표면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며 천식 유발 가능성이 높아져 주의가 요구된다. 천식은 기침, 가래 등 겨울철 흔히 발병하는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기에 감기로 오해하고 감기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감기약은 일시적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지만 천식 진단 및 치료를 늦출 수 있기에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GC녹십자의료재단이 공개한 천식의 특징과 진단 방법을 소개했다.

  • 이미지 제공=GC녹십자의료재단
    ▲ 이미지 제공=GC녹십자의료재단

    천식, OECD 국가 중 사망률 3위

    천식은 알레르기 염증으로 인해 폐로 연결되는 통로인 기관지와 폐가 부으면서 기침, 가슴 통증, 쌕쌕거림 등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만성 호흡기 질환이다. 특정한 유발 원인 물질이 기관지 등을 공격해 호흡기 근육을 좁게 만들어 기침, 천명(숨 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과 가래 등을 반복적으로 유발한다. 이러한 증세가 반복되면 섬유화 및 기도개형이 일어나면서 영구적인 폐 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에 따르면 ‘OECD 국가 간 주요 질환별 표준화 사망률 비교’에서 한국의 천식 표준화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1명으로 튀르키예, 아이슬란드 다음으로 3위를 차지하며 평균(1.3명)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또, 천식이 ‘소아 또는 60대 이상 고령층에게 주로 발생하는 병’으로 알려졌던 바에 비해 최근 국내 20대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천식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으로 구분되나, 대개 외부 알레르기 항원 흡입으로 발생한다. 천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으로는 알레르기 항원(집먼지진드기, 애완동물, 바퀴벌레, 곰팡이 등), 감염, 직업적 감작 물질(작업환경에 노출됐을 때 천식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 약제, 흡연, 실내 오염, 특정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등이 있다.

    조기진단 중요한 천식, 알레르기 유발 인자 종합 검사 필요

    천식은 감기와 비슷한 증세가 특징으로, 증상만으로 판별하긴 어렵다.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의 상담을 통해 폐 기능 검사, 기관지 유발 시험, 흉부 방사선 촬영, 객담 검사 등을 시행하여 진단이 가능하다. 다만, 알레르기의 근원을 찾기 힘든 경우가 많아 정확한 진단을 통한 조기 예방이 중요하다.

    GC녹십자의료재단은 천식 조기 진단을 위해 종합적이고 세분화된 ‘마스트(MAST, Multiple Allergen Simultaneous Test) 알레르기 검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추천했다.

    ‘마스트(MAST) 알레르기 검사’는 알레르기 항원 108종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다중 알레르기 항원 동시 검사법이다. 한 번의 채혈로 한국인에게 가장 많이 유발되는 호흡기(34종), 식품(41종), 공통(33종)으로 총 108종의 항원을 알아볼 수 있다. 다양한 알레르겐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원인을 추정하기 어려운 알레르기나 다수의 요인에 노출된 경우, 항히스타민제 또는 항알러지 등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영유아 및 피부질환자의 경우에 더욱 유용하다. 특히, 피부 반응 검사에서 나타날 수 있는 쇼크 위험성이 없어, 영·유아기 및 광범위 피부질환 환자도 안전하게 검사할 수 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