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AI 클러스터 성공적으로 조성하고 협력 도모해야
-
미래 국방 경쟁력 강화와 국민 안전을 위해 국방 인공지능(AI) 클러스터 조성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이 국방·AI·윤리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왔다. 북한을 비롯한 주변국들이 AI와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를 발전시키고 있는 만큼, 국방 AI센터뿐 아니라 클러스터를 조성해 정부, 산업, 학계, 연구소, 군이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또 국방AI 클러스터 위치는 협력이 유리한 충청남도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는 ‘AI가 바꿀 국방의 미래 모습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한 국회 토론회가 열렸다.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하고 충청남도와 인공지능 전문매체 더에이아이(THE AI)가 주관한 이번 토론회에서는 국방, AI, 윤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일반 시민이 모여 AI 기술을 활용한 미래 국방력 강화를 위한 토론을 진행했다.
-
토론 좌장은 △김정호 KAIST 전기·전자공학과 교수가 맡았고, 대표 토론자로는 △김봉제 서울교대 윤리교육과 교수 △천상필 대전대 군사학과 교수 △최은수 인텔리빅스 대표 △이상철 에스아이에이(SIA) 국가안보사업부문 이사가 나섰다.
◇국방 AI, 국방력 강화의 핵심 요소
토론자로 나선 이들은 공통으로 AI를 국방 경쟁력 핵심 요소로 꼽았다. 천상필 대전대 군사학과 교수는 “미래 전장은 데이터·지능화 기반 전쟁, 초연결지능화 네트워크 중심전, 5차원 전투공간 등의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측된다”며 “국방 분야는 미래 전장의 새로운 게임 체인저로 첫째로 AI가 둘째로 유인복합전투체계가 발전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또 “향후 2040년까지 AI 기반의 유·무인복합전투체계의 군사화 수준은 전장기능별로 상당부분 충족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다양한 무기체계의 전력화가 실현될 경우 미래는 비선형 전장 융합작전이 수행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했다.
-
군 대령 출신인 이상철 SIA 이사는 “현재 AI 기술 발전 상황을 보면 군에도 여러 AI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보듯 드론이 전장의 게임체인저로 등장한만큼, 전장의 눈 역할을 할 수 있는 AI 기능을 도입해 감시정찰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종제 서울교대 교수는 “실제로 지금 군에서는 사단 신병 교육대가 없어지고 있을 정도로 국가를 지킬 수 있는 장병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며 “한 명의 국민으로 봤을 때 국방 AI 기술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간기업, AI 기술 경쟁력 충분
그렇다면 AI 기술을 국방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까? AI 기업에서는 이미 군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기술은 충분히 발전했다고 주장했다.
-
이상철 SIA 이사는 “한국의 전반적인 AI 수준은 세계 수준의 70%를 상회하는 수준”이라며 “특히 영상분석 기술은 세계 수준의 95%까지 올라와 있다”고 말했다. 또 “SIA의 경우 처음으로 영상 분야 초거대 AI 기술을 개발했다”면서 “위성에서 촬영되는 큰 규모의 영상을 분석해 적의 위협 여부를 파악하는 기술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CCTV 기반 영상분석 기업인 인텔리빅스도 같은 의견을 펼쳤다. 최은수 인텔리빅스 대표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수많은 데이터를 통해 선행 학습을 받은 AI가 사람을 대신해 영상에 찍힌 콘텐츠를 분석해내는 비전 AI 기술은 군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며 “500미터까지 탐지가 가능한 근·중거리 AI 카메라를 GP에 시범 적용한 결과 적 예상 침투로 감시, 적 출현 감시 등에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지능형 CCTV 기술은 군 내부에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군 내부에서 폭행이나 괴롭힘이 있는 경우 이를 비전 AI가 빠르게 탐지해 병영부조리를 줄일 수 있다”며 “전투적인 요소뿐 아니라 장병들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AI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고 했다.
-
김정호 KAIST 교수는 “민간 기업들의 AI 기술력은 이미 상당 부분 앞서 있는 상황”이라며 “군과 민간이 합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상철 SIA 이사는 “AI뿐 아니라 위성 활용에서도 민간과 합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면서 “지금 세계는 상용 위성 발사 경쟁이 일어나고 있고 비교적 저렴하게 상용 위성 영상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민간 기술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소개했다.
◇안전성과 인력 부족 문제 풀어야
국방 AI 기술력 강화를 위해서 풀어야 할 여러 과제도 제안됐다. 가장 큰 과제는 안전이다. AI 기반 자율무기가 의도치 않게 인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서다. 김봉제 서울교대 교수는 “AI 기반 자율무개 개발의 성공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안전성”이라면서 “자율무기에 대한 국제기구의 입장을 고려한다면 민간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AI 기반 국방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것”이라면서 “충청남도가 국방 관련 특성화 지구를 기획해 안전성까지 함께 연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국방 AI 전문가 필요성도 제기됐다. 김봉제 서울교대 교수는 “국방 AI를 실천할 때 데이터나 컴퓨팅 자원 등이 필요하지만 인력 역시 중요하다”면서 “국방AI 클러스터가 충남에 위치했을 때 관련 인력들이 모일 수 있도록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상철 SIA 이사는 “회사가 대전에 위치해 있는데 여기서도 AI 인재를 구하기 쉽지 않다”면서 “국방 AI를 실천하기 위해선 인력 유치를 위한 파격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에 김정호 KAIST 교수는 “진짜 AI 전문가들은 연봉이 높고 판교를 벗어나지 않는다”면서 “판교와 협력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했다. 또 “AI 병과를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면서 “병력이 총을 잡지 않고 2년간 코딩을 한다면 국방 소프트웨어도 발전할 것이고 해당 인력에게도 좋은 경험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 김동원 기자 theai@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