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교통약자에 스며드는 AI, 실효성은 의문

기사입력 2023.10.18 10:58
정부·지자체, 교통약자 이동지원 AI 개발 나서
장애인 단체 “실질적 방안 필요”… 韓 기술 日이 먼저 사용하기도
  • 교통약자 이동권 개선을 위한 AI 기술이 확대 적용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 교통약자 이동권 개선을 위한 AI 기술이 확대 적용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정부와 지자체가 교통약자를 위한 인공지능(AI) 상용화에 나섰다. AI 기반 이동지원 배차 분석부터 휠체어 예약 챗봇 서비스까지 교통약자 편의 제고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교통약자가 요구하는 실질적인 기술 개발과 지속적인 개선 의지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 행안부, AI 기반 데이터 분석으로 교통약자 이동권 강화

    정부는 교통약자의 원활한 이동지원을 위한 AI 기반 데이터 분석 모델 개발에 나섰다. 17일 행정안전부는 교통약자의 원활한 이동 지원을 위한 ‘AI 기반 교통약자 이동지원 배차 효율화 분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수요자들이 차량 배차를 빠르게 받을 수 있어 이동권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보고 있다. 행안부는 대전시를 시작으로 전국 지자체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그동안 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대기 장소는 교통약자 이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 없이 운전자가 임의로 결정해왔다. 이용자가 콜센터에 이용 신청하면 가장 가까운 곳에서 대기하고 있는 운전원이 배정되는데 배차 신청 후 탑승까지 평균 약 약 22분이 소요됐다. 최대 51분이 걸리는 경우도 있었다. 행안부는 이번 AI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용자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대기지역 5개를 도출하고 6개의 새로운 차고지를 선정했다. 새로 선정된 곳에 배차 신청을 받는 경우, 신청지까지 이동 거리가 약 41%(평균 5.0㎞→2.9㎞)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대전시 교통약자 전용 차량 최적 차고지 분석 결과.  /행정안전부
    ▲ 대전시 교통약자 전용 차량 최적 차고지 분석 결과.  /행정안전부

    ◇ 광주, 휠체어 예약 서비스 챗봇 서비스 도입… “실질적인 도움 안 돼”

    지자체에서도 교통약자를 위한 AI 지원에 나서고 있다. 대표 사례가 광주광역시에서 진행하는 휠체어 예약 챗봇 서비스다.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는 지난해 AI 기술을 도입한 ‘AI 씽아봇’ 서비스를 시작했다. 씽아봇 서비스는 고객의 소리 1만 건 등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초데이터를 구축한 후, 머신러닝 시스템 채택을 통해 답변의 정확성을 높이고 양방향 소통 작용을 강화했다.

    하지만 교통약자 편의시설 가운데 휠체어 대여 질의응답에 교통약자를 위한 휠체어 대여 장소가 남광주역, 금남로 4가역 등 노약자 이동수요가 많은 역사 5곳에 대한 정보만 있을 뿐 휠체어가 있는 장소와 대여방법 등이 제공되지 않아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는 지난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AI 씽아봇’ 서비스를 시작했다. /광주도시철도공사
    ▲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는 지난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AI 씽아봇’ 서비스를 시작했다. /광주도시철도공사

    광주광역시에 사는 한 시민은 “챗봇 서비스가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사용하고 있진 않다”면서 “대여 장소나 방법 등이 자세히 안내되어 있지 않고, 사용도 불편하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시민은 “이러한 서비스가 있는지도 몰랐다”면서 “과연 지금도 잘 운영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 “AI 기반 기술 도입 교통약자 편의 도움 미미할 것”

    장애인단체 등에선 교통약자 이동권 강화를 위한 AI 기술 도입이 현재 수준에서 실효성이 있는지 의구심을 두고 있다. 교통약자의 이동권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기술 개발과 개선 의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이다.

    다니주누(활동명)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기획국장은 “AI 기반 기술 도입이 실질적으로 교통약자의 편의를 도움을 주긴 하겠지만 미미할 것”이라며 “이동권 개선의 실질적인 예산과 물리적 자원 확대가 바탕이 되면서 관련 기술 개발 또한 지속적인 지원과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권 강화와 관련한 기술 개발 다수가 중간에 예산이 삭감되거나 제대로 도입조차 안 되고 있다”며 “실질적인 기술 개발 및 도입이 일본이나 스위스보다 더딘 이유는 정부와 일반 시민들의 이동성 확보 개선 의지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 개발이 완료되지 않고 예산이 삭감돼 중단되는 일이 계속되고 있어 이러한 기술 도입에 관한 기사를 보면 정부의 홍보 효과로밖에 비춰지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실제 국토교통부에서 지원하는 연구과제 사업 가운데 ‘교통약자 휠체어 탑승 가능 수소 전기 좌석 버스 연구개발 사업’의 예산이 삭감돼 큰 타격을 받게 됐다. 연구개발 사업의 총 376억 6400만 원의 연구비 가운데 정부 지원금은 250억 원이다. 정부 지원 협약에 따르면 1차 연도 40억 원, 2차 연도 61억 5000만 원, 3차 연도 114억 원, 4차 연도 34억 5000만 원이 연구개발에 지원된다. 하지만 2차 연도인 내년에 지원금이 85.6%가 삭감되어 61억 5000만 원이 아닌 8억 8600만원이 지원된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기획국장은 “명절에 휠체어를 타고 광역버스나 시외버스를 탈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해서 추진된 연구사업이 예산 삭감으로 인해 어려워지고 있다”며 “당장에 도입할 수 있는 기술들도 유보되고 있어 발 빠른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한국에서 개발한 교통약자 AI 기술, 일본이 먼저 사용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기획국장의 얘기처럼 현재 도입할 수 있는 기술이 갖춰진 상황이지만, 유보되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일본은 지하철에 교통약자를 보조하는 ‘교통약자 분석 AI’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CCTV 영상에서 교통약자를 식별해 이들이 요청하기 전에 현장 안내원이 현장에서 교통약자를 지원하고 문제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다. 휠체어, 흰 지팡이 등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사람, 안내견 등을 식별하고, 역내 치안과 돌발상황 등을 감지해 신속하게 관제실에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역사 내 ‘사람의 쓰러짐’이나 ‘유기’ 같은 상황을 감지해 알릴 수 있다. 지하철 운영이 끝난 시간에 체류하는 사람이나 출입 금지 구역에 사람이 침입하는 경우도 검출해 관제실에 정보를 제공한다.

  • 국내 비전 AI 기업 인텔리빅스는 지난해 말부터 일본 지하철에서 AI 기반 교통약자를 보조할 수 있는 '교통약자 분석 AI'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인텔리빅스
    ▲ 국내 비전 AI 기업 인텔리빅스는 지난해 말부터 일본 지하철에서 AI 기반 교통약자를 보조할 수 있는 '교통약자 분석 AI'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인텔리빅스
    중요한 점은 이 기술이 한국 기업인 ‘인텔리빅스’에서 개발했다는 것이다. 인텔리빅스 관계자는 “교통약자를 위한 기술은 이미 상당 부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많다”며 “국내에서 개발한 기술이 일본에서 사용된다는 점은 의미있지만, 반대로 국내 교통약자를 위해 많이 쓰이지 않는다는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에서도 지하철 4호선 이촌역 1호기에 AI 영상 인식 기반 엘리베이터 탑승 버튼을 직접 누르기 힘든 교통약자를 위한 자동호출 시스템을 시범운영하고 있다”면서 “이처럼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AI 기술 사용이 앞으로 확대됐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