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아몬드의 체중 관리 효과 입증한 연구 결과 공개

기사입력 2023.09.27 14:59
  •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이하 협회)가 아몬드의 체중 관리 효과를 입증한 두 건의 연구 결과를 27일 공개했다.

  • 이미지 제공=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 이미지 제공=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첫 번째는 칼로리 제한 식단에 포함된 아몬드와 탄수화물 간식이 체중 관리와 심장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무작위 실험이다.

    호주의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25세에서 65세 사이의 성인 140명을 9개월간 추적 조사한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참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3개월 동안 하루 칼로리 섭취량의 30%를 줄이되, 견과류를 제외한 식단을 섭취하거나 아몬드가 넉넉히 추가된 식단을 각각 섭취하도록 했다. 이때 아몬드 추가 식단의 경우 아몬드가 하루 칼로리 필요량의 15%를 차지하도록 구성했는데, 이는 약 30~50g(1.0~1.76oz)에 해당한다. 

    연구 결과, 두 그룹은 3개월 만에 모두 평균 7kg(15lb)이 감량되었고, 체중에서 지방을 뺀 제지방량 또한 개선됐다. 이후에도 체중은 지속해서 감소했으며, 이후 6개월 동안 약 1kg(2lb)이 추가로 감량되었다.

    협회의 지원을 받아 진행한 이 연구는 미국비만학회의 대표 저널인 오비시티(Obesity)에 게재됐다.

    남호주 대학교(University of South Australia)의 영양학 교수이자 운동과 영양, 활동 연구소(Alliance of Research in Exercise, Nutrition, and Activity) 소장인 앨리슨 코츠(Alison Coates) 박사는 “체중 관리 프로그램 중 칼로리 제한 단계가 끝난 후 다시 체중이 늘어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면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도 요요가 오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며, “이번 연구는 체중 관리 식단에 아몬드를 추가하는 것이 유의미한 체중 감량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건강한 식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 이미지 제공=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 이미지 제공=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

    두 번째는 간식을 즐겨 먹는 사람이 아몬드, 혹은 비스킷 간식을 섭취하는 것이 각각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1년 동안 비교한 무작위 대조 실험으로 그 결과가 미국 임상영영학저널(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협회의 지원을 받아 12개월 동안 간식을 즐겨 먹지만 비만이 아닌 건강한 뉴질랜드의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아몬드를 장기간 간식으로 섭취했을 때, 체중 증가를 초래하는 것 없이 전반적인 식단의 퀄리티가 향상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에 참여한 136명 중 절반은 매일 43g(1.5oz) 또는 하루 필요 칼로리 섭취량의 10% 혹은 그 이상에 해당하는 양의 아몬드를 매일 간식으로 먹도록 했으며, 나머지 대조군 참가자들은 동일 칼로리의 고탄수화물 간식을 먹도록 했다. 그 결과 아몬드 섭취군이 탄수화물 섭취군보다 단백질, 단일불포화지방, 다중불포화지방, 식이섬유, 비타민 E, 칼슘, 구리, 마그네슘, 인, 아연을 훨씬 더 많이 섭취한 반면 탄수화물과 설탕 섭취량은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두 그룹 모두 실험 기간 체중이나 지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미루어 보면 아몬드 섭취가 체중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한 해당 연구에서 아몬드를 섭취한 여성 참가자는 비스킷을 섭취한 여성 참가자들과 비교했을 때 내장 지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지만, 남성은 아몬드 섭취군의 참가자들의 내장 지방이 비스킷 섭취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이에 대해 협회는 “기존 연구에서는 관찰된 적이 없는 사례이지만 본 실험이 식습관과 운동량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는 코로나 봉쇄 중 진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참가자들은 정상 체중 또는 과체중이었기 때문에 비만과 같이 다른 조건을 가진 참가자들에게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