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 송강호, 임수정, 오정세, 박정수, 전여빈, 정수정, 장영남이 모여 영화를 찍는다. 각자의 역할도 다르다. 송강호는 '김감독'이 되어 메가폰을 잡았고, 박정수, 임수정, 오정세, 정수정은 연기를 선보이며, 장영남과 전여빈은 제작자로 합류했다. 각자의 욕망이 교차한다. 그런 그들을 하나로 만드는 것은 역시 '영화'다.
14일 서울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거미집' 언론시사회가 진행됐다. 이날 현장에는 김지운 감독을 비롯해 배우 송강호, 임수정, 오정세, 박정수, 전여빈, 정수정, 장영남이 참석했다. '거미집'은 1970년대 꿈도 예술도 검열당하던 시대 악평과 조롱에 시달리던 김감독(송강호)는 결말만 바꾸면 걸작이 될 거라는 생각에 촬영을 밀어붙이는 이야기를 유쾌하게 담은 작품이다. -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과 이야기가 영화 '거미집'의 주축이다. 김지운 감독은 이 과정을 통해 일반 관객들에게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것을 전하고 싶었다. 그는 "영화 안에서 김감독이 처한 상황들은 인생을 확장해서 본다면, 불합리한 세계 속에서 인간은 끊임없이 난관과 역경에 부딪힌다. 그런 사람이 어떻게 돌파하고 꿈을 실현해 가는지를 이야기한다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전했다. 이어 "'조용한 가족' 당시에도 비슷한 고민을 했었다. 하지만 그때처럼 새로운 영화에 대한 욕구, 독특한 니즈를 가진 관객이 충분히 많을 거라고 생각한다. 천편일률적인 기승전결의 영화가 아닌, 유니크하고 새로운, '조용한 가족'과 '반칙왕'이 가진 것 같은 신선한 수용층이 있을거라 생각한다"라고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송강호는 걸작을 만들고 싶은 ‘거미집’의 감독, 김열 역을 맡았다. 김지운 감독은 송강호가 선보이는 '김감독' 캐릭터에 많은 부분 자신의 모습이 투영되어 있음을 밝혔다. 그는 "제가 실제 현장에서 느낀 지점을 김감독이 말하기도 한다. '놈놈놈'까지는 '(배우들이) 시나리오가 가혹합니다'라고 할 정도로 되게 힘들게 했다. 배우들 입장에서 혹독한 고생을 시키는 감독으로 유명했다. 저는 총량의 법칙을 믿는다. 그때까지 경험으로 힘들고, 어렵게 찍었을 때 그 에너지가 온전히 화면에 담긴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한 명이었다"라고 전했다. -
극 중 영화 '거미집'의 메가폰을 잡은 송강호는 작품에 대한 생각을 전했다. 그는 "김감독의 욕망 때문에 모이게 되고 그 안에서 좌충우돌을 겪게 된다. 수많은 과정을 겪으며 결말을 완성해 가는 그 과정 자체가 있다. 저는 영화 속 영화에 나오는 배우들도 각자의 작은 욕망들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욕망의 카르텔 속에서 허우적대는 모든 사람들,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의 상징적이고 지독한 우화같은 작품이 아닐까 싶다"라고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했다.
임수정은 영화 ‘거미집'에서 열연한 베테랑 배우 이민자 역을 맡았다. 그는 바뀐 결말에 대한 만족감을 전했다. 임수정은 "결말이 바뀌기 전 이민자는 순종적으로 맞춰서 살아가는 여성이었다면, 결말이 바뀌고 난 다음부터는 조금 더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고 욕망에 충실한 여성으로 그리게 됐다. 이민자로 '뭘 바뀌었어?'라며 투덜거리지만, 이민자는 새로 바뀐 결말에서 연기할 때 더 만족스럽지 않았을까 싶다. 저도 개인적으로는 바뀐 결말이 더 좋다"라며 만족감을 전했다. -
오정세는 '거미집'의 남자 주인공이자 톱스타 강호세 역을 맡았다. 그는 자신의 캐릭터에 대해 "극 중 강호세는 그 전과 후의 작품성과 이야기에 크게 관심이 없고, 시키는 대로 하는 인물"이라고 설명하며 "조금의 혼남으로 성장과 참회가 있길 바랐다"라고 마지막 장면에 기대하는 바를 전했다.
마지막 장면에서 강호세는 아내와 함께 영화를 관람한다. 그리고 그 아내로는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서 부부 호흡을 맞춘 바 있는 배우 염혜란이었다. 오정세는 "마지막 장면에서 나름의 아주 작은 성장, 참회, 뉘우침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앉아있었는데 염혜란이 옆에 앉아있음으로, 겉으로는 억척스러워도 따뜻한 내 아내가 곁에 있어 줘서 뉘우침과 참회가 더 풍성해졌던 것 같다. 연기적으로 옆에 앉아만 있어도 든든한 지원군이었다"라고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
정수정은 '거미집'에서 열연한 신예 배우 한유림 역을 맡았다. 그는 70년대 말투로 연기를 선보였다. 정수정은 "일단 70년대 말투로 연기를 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른 채 대본을 접했고, 리딩도 하게 됐다. 한 번도 접해보지 않은 거라서 처음에는 많이 당황했다. 그런데 감독님의 시범을 보고 감을 얻었다. 클립들을 찾아보며 레퍼런스로 계속 봤다. 현장에서 연기할 때 모두가 그렇게 연기하니까, 자연스럽게 되더라. 무조건 그 의상, 헤어, 메이크업해야만 그 말투가 나오더라. 현대 말투가 어색할 정도였다"라고 남다른 노력을 기울였음을 전했다.
그리고 전여빈은 재촬영을 밀어붙이는 제작사 후계자 신미도 역으로, 장영남은 '거미집'의 제작자 신성필림 대표 백회장 역으로 등장한다. 제작자이자 스태프로 합류한 전여빈은 "미도라는 사람 자체가 전여빈의 에너지와 온도와는 상이한 사람이었다. 그래서 '거미집'이라는 영화의 템포와 리듬을 좀 더 업 시킬 수 있는 촉매제가 되는 인물이라고 생각했다"라며 남다른 에너지를 예고했다. -
감독, 배우, 제작자, 그리고 검열하는 기관까지 모두가 다른 욕망을 가지고 현장에 있다. 그리고 그들을 하나로 만드는 것은 영화다. 특히, '거미집'의 엔딩 장면이자, 한 장면을 한 카메라에 담아 하나의 쇼트로 이뤄지는 플랑 세캉스(plan-sequence)를 촬영할 때 영화를 향한 마음이 극대화된다. 김지운 감독은 "각자 이해와 욕망이 충돌하는 사람이 모였다. 그런데 이 장면을 찍을 때 한순간이라도 템포를 맞추지 못하면 다시 찍어야 한다. 시한폭탄처럼 한순간에 끝내야 하는 장면이라, 모든 사람이 거기 집중할 수밖에 없다. 그 장면을 위해 일사불란하고 몰입 최고조의 상태에서 움직인다. 그것이 감동스럽다. 영화를 만들면 몇 번씩이나 힘들다고 느끼는 순간이 있다. 그런데 현장 인물들이 하나가 되어 성취하는 과정에서 빛나는 감정을 담아내고 싶었다"라고 설명했다. 한 편의 영화에 얽힌 수많은 사람들은 결국 그 영화를 위해 한마음으로 움직인다. 그 모두를 아우르는 빛나는 감정을 '거미집'은 전한다.
송강호는 '거미집'을 보며 생각한 소회를 전했다. 그는 "왜 우리가 계속 영화를 만들고, 새로운 영화로 관객과 소통하고 싶은지, 극장에서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이야기하는 것 등에 대해 생각해 봤다. 영화 '거미집'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한다면 그것보다 큰 보람과 행복은 없을 것 같다. '거미집'이라는 영화가 관객에게 그렇게 다가가는 영화였으면 좋겠다"라며 영화에 대한 헌사를 더했다.
한편, 영화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송강호, 임수정, 오정세, 박정수, 전여빈, 정수정, 장영남이 우당탕탕 움직이며 웃음과 뜨거운 무언가를 전해줄 영화 '거미집'은 오는 9월 27일 개봉해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 조명현 기자 midol13@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