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

“AI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 진출” 루닛, 중장기 성장 비전 발표

기사입력 2023.08.24 16:14
  •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AI 솔루션을 개발해 온 루닛이 AI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 루닛 백승욱 의장 /사진=김정아 기자
    ▲ 루닛 백승욱 의장 /사진=김정아 기자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24일 서울 강남구 루닛 본사에서 창립 1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루닛 백승욱 의장은 ‘사람’과 ‘방향성’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토대로 성장해 온 루닛의 역사를 소개했다. 이어 인공지능을 통한 암 정복이라는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기술 개발은 물론,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협업을 통한 사업 확장 등 혁신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루닛 서범석 대표는 루닛의 중장기 성장 로드맵을 담은 ‘비전 2030’ 사업 계획과 경영 전략을 발표했다. 

  • 루닛 서범석 대표이사
    ▲ 루닛 서범석 대표이사

    서 대표는 향후 10년간 의료 빅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AI 플랫폼을 구축하고, 암 정밀진단을 위한 자율형 AI(Autonomous AI)와 전신 MRI(Whole-body MRI) 개발, 최적의 암 치료를 위한 다중체학 바이오마커(Multiomics Biomarker) 개발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의료 데이터 통합관리 AI 플랫폼 구축이 의료 시장의 흐름과 기업 성장을 위해서라도 불가피한 것이라며, 전 세계 검진센터, 지역거점 병원, 임상시험 기관, 암센터 등에서 수집한 다양한 암 관련 데이터를 고도화된 AI 학습 모델로 정밀 분석해 의료기관 시스템에 의료 데이터를 직접 설치·관리하는 통합형 AI 플랫폼을 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AI 플랫폼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자동화된 AI 모델을 통해 학습함으로써 암 진단 및 치료 예측 정확도를 크게 높이고, 맞춤형 정밀 치료를 가능하게 도울 것으로 기대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루닛이 개발 중인 ‘자율형 AI’ 제품도 소개됐다. 자율형 AI는 AI가 의료 영상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분석해 스스로 진단하는 제품으로, 루닛은 해당 AI의 판독 정확도가 100%에 가까워지면 좀 더 낮은 비용에 효율적으로 암 진단과 치료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루닛은 스스로 영상을 판독하고 진단할 수 있는 자율형 AI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ChatGPT처럼 대화를 통해 영상 판독 지시하고, 환자에게 보낼 판독문을 작성해 이메일로 발송하는 모습이 시연됐다.
    ▲ 루닛은 스스로 영상을 판독하고 진단할 수 있는 자율형 AI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ChatGPT처럼 대화를 통해 영상 판독 지시하고, 환자에게 보낼 판독문을 작성해 이메일로 발송하는 모습이 시연됐다.

    또한, 루닛은 특정 암종에 한정하지 않고 모든 암을 검진할 수 있는 ‘전신 MRI'도 개발하고 있다. 서 대표는 조성된 현재의 암 검진 시스템은 발병률이 높은 5대 암을 기준으로 해 전체 암종의 절반은 검진조차 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MRI와 AI의 결합을 통해 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게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루닛은 AI 바이오마커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멀티오믹스(Multiomics, 유전체학, 미생물학 등 질병 연구를 위한 다양한 분석 및 접근법) 방식을 적용해 최적의 암 치료를 위한 멀티오믹스 바이오마커를 개발하고 향후 암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 사업에까지 진출할 계획이다.

    서범석 대표는 “국내 기업이 특히 강점인 AI 기술력을 기반으로 전 세계 의료기관의 의료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여 'AI를 통한 암 정복'이라는 창업 정신과 기업 철학을 반드시 실현하겠다”며, 이를 위해 “파트너십 강화와 인수합병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3일 총 2천18억7천200만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한 루닛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의 상당 부분을 신제품 개발과 신사업 진출, 인수합병 등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루닛은 2033년 매출 10조 원, 영업이익 5조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