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신규 고형암 치료제 후보물질 등 2건 국제학술회의에서 공개

기사입력 2023.08.22 14:59
  • 혁신 신약 연구개발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오는 10월 11일부터 15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암 연구 관련 국제학술회의 ‘2023 AACR-NCI-EORTC’에서 임상 과제 1건 및 비임상 과제 1건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 이미지 제공=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 이미지 제공=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BBT-207의 주요 전임상 데이터 및 임상시험 개요를 포스터 형식으로 발표한다. 또한, BBT-207의 미국 및 한국 임상시험의 조속한 개시 및 진행을 위해 현지에 모인 글로벌 폐암 임상 연구자들과의 회의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4세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 EGFR TKI)로 개발 중인 BBT-207는 지난 4월과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및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시험 계획 승인을 받아 본격적인 임상 단계에 진입했다.

    또한, 회사는 미국 보스턴 소재 자회사인 ‘보스턴 디스커버리 센터(BDC)’를 통해 자체 발굴한 신규 고형암 치료제 후보물질 ‘BBT-4437’를 최초 공개한다. 

    BBT-4437은 지난 2020년 보스턴 디스커버리 센터가 본격화하여 발굴에 매진한 항암 신약후보 물질로, ‘히포 신호전달경로(Hippo signaling pathway)’의 저해를 통해 항암 효력을 가지는 새로운 TEAD 표적 저해제다.

    생체 내 조직에서 세포의 수를 정상 범위 이내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히포 신호전달경로는 경로의 구성 단백질들에 변이가 생길 경우 YAP/TAZ라는 조절 물질이 핵심 전사인자(DNA 특정 부위에 결합해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단백질)인 TEAD와 결합해 암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한다.

    사측은 TEAD 단백질의 결합 활성을 저해하는 선택성 및 뇌 투과율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되는 BBT-4437의 다양한 초기 실험 데이터를 이번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공개하고, 악성중피종 및 NF2 돌연변이가 포함된 종양 등 다양한 고형암종을 고려하여 개발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이정규 대표이사는 “현재 폐암 분야에서 활발히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BBT-176을 필두로, 더욱 다양한 돌연변이에 대응할 수 있는 BBT-207이 뒤이어 임상 단계에 진입하게 됐다”며 “이와 더불어 최근 전 세계 항암 신약 분야에서 매력적인 타깃으로 부상하고 있는 TEAD 표적 저해제를 신규로 공개하며 의미 있는 성과를 지속해서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