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핀트, 투자 서비스 개편... 'AI기반 초개인화' 미국 주식 전략 출시

기사입력 2023.08.16 14:31
  • AI 일임투자 서비스 '핀트(fint)'를 운영하는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이 AI가 고객의 투자 성향과 니즈에 맞게 알아서 미국 주식 종목에 투자해주는 '미국 주식 전략'을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 이미지 제공=핀트
    ▲ 이미지 제공=핀트

    핀트의 '미국 주식 전략'은 최근의 신임 대표이사 선임, 대주주 전환 및 증자 등의 변화 소식 이후, 디셈버가 내놓는 첫 신규 서비스다. 코스콤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센터에서 2017년 5월부터 운용을 시작해 지난 6년간 테스트베드를 거쳤다. 

    사측에 따르면, '적극투자형'을 기준으로 지난 7월 말까지의 6년간 누적수익률은 84.86%에 달한다. 이는 코스콤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벤치마크(BM) 기준인 KOSPI 200의 동기간 누적수익률인 13.2%를 상회하는 수치다. 동기간 최대손실률은 KOSPI 200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서비스 알고리즘은 AI엔진이 6개월 뒤 상승이 예상되는 미국 주식 종목들을 예측하고 선별해 운용하도록 특화 설계됐다. 거시경제 지표부터 기업의 재무제표, 수십년 간의 거래 데이터까지 미국의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3천 개 이상의 종목의 금융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승 가능성이 높은 개별 종목을 선별해 해당 종목들 내에서 예상 수익 비중에 따라 차등 비율로 분산 투자하도록 만들어졌다. 기존 글로벌 ETF 대상 투자일임 서비스 대비 고수익을 추구하는 공격적인 투자 전략을 취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미국 주식 전략' 서비스는 디셈버앤컴퍼니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자산배분 엔진 '아이작'이 개별 미국 주식 종목들을 유니버스로 삼고 직접 선별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AI가 알아서 투자까지 수행해 주는 방식이다. 핀트의 기존 ETF 자산배분 전략과 같이 고객 개개인별 투자 성향에 맞춰 세부 선택이 가능한데, 아이작의 판단만으로 고수익을 추구하는 'AI형'이 기본이다. 여기에 사용자의 니즈에 맞춰 △가치형, △성장형, △배당형 등 투자 스타일 옵션을 선택해 투자 포트폴리오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에 더해 사측은 직접 투자에 익숙한 고객을 위해 핀트 앱 내에서 원하는 종목을 직접 선택하고 사고 팔 수 있도록 하는 운용지시 기능도 조만간 업데이트해 고객의 투자 자유도 및 선택권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김일희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이번 서비스 개편은 단순히 새로운 투자 전략 출시가 아닌 고객 개개인의 투자 성향과 니즈에 맞춰 커스터마이징 투자 서비스 제공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라며, "조만간 업데이트를 통해 고객들이 직접 사고팔고 싶은 종목이 있을 경우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운용지시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