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메타리즘 이시한 칼럼] ESG는 메타버스에 어떻게 구현될까?

  • 메타리즘
기사입력 2023.07.11 10:00
  • 메타리즘 이시한 칼럼
    ▲ 메타리즘 이시한 칼럼

    ESG는?

    테크 씬에서는 메타버스라는 키워드가 한창 뜨거울 때, 경제 씬에서 그 못지않은 열기를 보여주었던 키워드가 ESG였습니다. ESG는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조어로 번역하자면 환경, 사회, 지배구조라는 말입니다. 이 요소들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평가지표인데, 매출 같은 재무적 평가 요소가 아닌 비재무적 평가 요소들이죠.

    기업을 평가할 때 과거에는 ‘돈을 얼마나 버는가?’만 중요하게 생각하다가, 이제는 ‘돈을 어떻게 버느냐?’도 따지게 되었다는 얘기예요.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 경영을 고려해야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다는 가치가 담겨 있는 것이 ESG라는 키워드입니다. ESG가 지켜지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 소비자들은 언제나 돌아설 준비가 되어 있고, 이는 기업의 위험 요소인 만큼 투자자들은 ESG를 투자의 지표로 삼았습니다. ESG를 평가해서 기준에 모자라면 투자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그래서 이 ESG는 현대의 기업이라면 반드시 지켜야 할 하나의 방향성이 되었습니다.

    ESG가 메타버스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

    얼핏 ESG와 메타버스가 겹치는 부분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죠. 하지만 최근 들어서 ESG를 구현하는데 메타버스가 큰 역할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우선적으로 ESG에서 가장 많이 강조되기도 하고, 또 현실적으로 눈에 금방 띄는 가치가 환경입니다. (그래서 ESG가 곧 환경이라고만 생각하는 경향도 조금은 있습니다.)

    마크 라이너스의 ‘최종경고 : 6도의 멸종’에서는 산업화 이후 200여 년이 지난 2015년에 지구의 평균 온도가 공식적으로 1도 올랐다고 합니다. 그리고 2023년에는 스탠퍼드대와 콜로라도주립대 연구팀이 AI를 이용해 향후 지구 기온 상승 시간표를 도출했는데, 2030년대 초반에 산업화 시기보다 1.5도 높아지는 시점이 올 것으로 예측했어요. 만약 탄소 배출량이 줄지 않으면 2도 상승 시점은 2050년 이전이 될 것이라는 결과도 함께 말이죠. 200년 동안 1도 올랐는데, 지금의 추세라면 30~35년 만에 다시 1도가 오른다는 것입니다. 세계 정상들은 1.5도 정도로 상승을 억제하자는 파리공동협약의 목표를 다시 상기할 수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이상 기후 때문에 기후 변화가 온몸으로 느껴지는 요즘이잖아요. 이제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셈이죠. 

    이 환경 문제에 대해서 메타버스가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산업화 이후 지구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매년 증가했는데요, 코로나 시기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네이처 기사에 의하면 전 지구적으로 봉쇄 조치가 시작된 2020년 상반기에는 무려 전년 대비 17%나 감소했었어요. 어느 정도 봉쇄가 풀린 후에는 4~7% 수준이 되었지만요. 인간의 활동이 줄게 되고, 그에 따라 이동이 최소한으로 일어나게 되면서 이산화탄소배출량 역시 준 것이죠. 

    재택근무나 비대면 미팅 등이 인간의 이동량을 줄이는 데 일조했고, 이런 활동을 가능하게 한 것이 디지털 협업 툴들이었습니다. 특히 ‘게더타운’ 같은 경우는 적극적으로 재택근무에 활용되었고, 이후 많은 협업 도구들이 메타버스의 형식으로 개발이 되어서 론칭이 되었죠.

    코로나가 엔데믹으로 바뀐 이후 지금은 대부분의 기업들이 재택근무를 파하고, 다시 회사 출근으로 바뀌었지만 몇몇 기업들은 재택근무 툴을 잘 정착시키면서 재택근무의 기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국 같은 경우는 재택근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식으로 기업 문화가 변하면서 대도시 공동화 현상이 일어나고, 거주 지역이 활성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뉴욕만 해도 도심 지역인 맨해튼에서는 빈 사무실이 넘쳐나고 있는데, 거주 지역인 브루클린은 생기를 되찾고 있다고 하죠.

    메타버스의 협업툴, 미팅툴 들이 정교화되고, 사용하기 편리해질수록 기업의 재택근무 전환율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전면 재택은 아니어도 출근하는 날을 1주일에 하루라도 줄인다면, 출퇴근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소보다 1/5로 줄일 수 있는 거잖아요. 미팅 횟수를 줄이는 것도 마찬가지죠. 

    메타버스 교육도 그렇습니다. 메타버스 교육은 체험의 영역을 겸하면서 효과적인 반면, 실제적인 이동이 없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이 줄어들게 되죠. 생산이나 건축의 영역에서도 메타버스로 모형이나 상황을 구현함으로써 샘플 제작이나 직접적인 실험 등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일조하게 됩니다. 

    비단 업무뿐 아니라 메타버스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활동에는 실제적인 외출이나 이동이 없다 보니 이산화탄소배출을 줄이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화장을 하거나 새 옷을 사는 일이 줄어드니, 그만큼 공산품을 만들면서 나오는 온실가스들이 감소되는 거거든요. 

    이렇게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메타버스로 환경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대중들이 환경보호에 보다 관심을 가지게 하는 일들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LG생활건강은 메타버스 플랫폼인 ‘빌려 쓰는 지구월드’를 운영하는데요, 환경오염 때문에 심각하게 오염된 50년 후의 지구를 볼 수 있습니다. 유저들은 자신의 아바타를 선택해 환경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 세계 7개 도시를 선택해 교육과 게임 등의 미션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한 일상의 습관 등을 배우게 되는 거죠. 

    메타버스와 환경보호 활동은 궁합이 잘 맞습니다. 인간의 외부 활동이나 직접적인 생산 등을 대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 메타버스인 만큼 이산화탄소 배출에 그대로 영향을 주거든요. 그리고 환경이 파괴된 지구를 직접 경험하게 해주는 교육을 통해 인식개선을 끌어내는데도 효과가 좋습니다. 그래서 최근에 더욱 메타버스와 환경보호에 대한 결합들이 다양하게, 그리고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 그러면 메타버스는 ESG와는 관계가 없을까?

    사실 우리가 ESG 경영을 이야기할 때, 대부분은 E에 방점을 둡니다. 환경에 관해서만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는데 ESG는 기업의 사회적 영향력이나 투명한 지배구조도 포함하는 개념이거든요. 그래서 메타버스가 S와 G에도 영향을 미칠 때 메타버스와 ESG의 결합이 더욱 빛나게 됩니다.

    기업의 사회적 영향력 차원에서는 최근들이 일어나는 기업들의 메타버스 이벤트들이 눈에 띕니다. CJ올리브네트웍스가 진행했던 ‘리모트 인턴십’ 프로그램은 청년들에게 메타버스에서 직장 업무를 체험해 보게 함으로써, 취업 준비에 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물론 그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디지털 역량도 키우게 되었고요. 이렇게 청년들의 취업을 도와주는 프로그램 같은 경우는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죠. 

    앞으로의 다양한 시도들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드비전이나 세이브더칠드런같이 어려운 아동을 도와주는 기부 프로그램 같은 경우는 그동안 사진으로서 후원자와 아동을 연결했었는데, 메타버스로 이런 연결을 도와줄 수 있다면 보다 직접적이고 활발한 기부를 이끌어 낼 수도 있겠죠. 물론 어려운 지역에서 메타버스가 접속될 정도의 네트워크 환경이 구현되어야 하니까 당장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가능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자신이 후원하는 아동을 메타버스에서 직접적으로 만날 날을요.

    이렇게 메타버스를 활용해 기업은 여러 가지 사회 공헌 활동을 할 수 있는데요. 공간을 초월하는 메타버스이기 때문에 그 활동의 영향력이나 파급력이 꽤 커질 수 있는 것이죠.

    메타버스를 활용해서 지배구조를 보다 투명하게 만드는 작업은 아직은 눈에 띄는 것이 없지만, 기업의 지배구조를 메타버스에서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작업을 통해 끊임없이 대중의 감시와 관심을 확보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기업의 지배구조 자체에 대해 메타버스가 직접적인 영향을 발휘하기는 쉽지 않아 보이지만, 메타버스 월드에서 기업의 조직도나 인원 구성 등을 보여주는 간접적인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어요. 지배구조에 따라 아바타의 크기나 관계를 달리 보여주면 대중들이 직관적으로 그 기업의 지배구조가 바람직한지 아닌지 알 수 있거든요. 지나치게 비대한 하나의 아바타가 모든 관계의 정점에 혼자 존재한다고 하면 분명 기업의 지배구조로서는 바람직하지 않으니까, 대중들의 비판을 받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간접적으로 기업의 지배구조를 감시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ESG에서 기대되는 메타버스의 효용

    AI의 트렌드에 밀려서 메타버스가 지나간 키워드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대중의 관심에 국한된 이야기고, 실제로 메타버스 기술들은 대중들의 관심과는 별도로 꾸준히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메타버스의 활용성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실험되고 있는데요, ESG와 결합되어서 기업을 바람직하게 바꿔 가는 메타버스의 기능도 상당히 기대가 되는 효용 중 하나입니다. 

    [이시한 교수] 이시한 교수는 연세대학교 박사 수료 후 성신여자대학교 겸임 교수로 활동 중인 ‘지식 탐험가’다. 다수의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 메타버스 관련 프로젝트 및 자문에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는 ‘메타버스의 시대’, ‘NFT의 시대’, ‘이시한의 열두 달 북클럽’ 등이 있으며 현재 메타버스 전문 뉴스 미디어 '메타리즘'에서 전문가 칼럼을 집필 중이다. 

  • 메타리즘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