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시지바이오, 美 재생의학연구소와 차세대 환자맞춤형 인공 뼈 개발 추진

기사입력 2023.06.29 11:04
  •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가 미국 웨이크 포레스트 재생의학연구소(Wake Forest Institute of Regenerative Medicine, WFIRM)와 글로벌 환자맞춤형 의료기기 시장 진입을 위한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연구 계약 규모는 17만 달러(한화 약 2억 2천만 원)로, 양측은 환자맞춤형 3D 임플란트 출력 시스템인 ‘PSI(Patient Specific Implants) 플랫폼’에 사용되는 차세대 소재를 함께 개발하고, 나아가 고도화된 바이오 잉크(Bio-Ink)를 개발할 계획이다.

  • (왼쪽부터)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 WFIRM 이상진 교수 /사진 제공=시지바이오
    ▲ (왼쪽부터)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 WFIRM 이상진 교수 /사진 제공=시지바이오

    시지바이오는 웨이크 포레스트 재생의학연구소 이상진 교수 연구팀과 시지바이오의 환자맞춤형 PSI 플랫폼을 통해 출력되는 인공 뼈 성분인 ‘BGS-7(Bioactive Glass Ceramic)’ 함량을 두 배 이상 높여 주변 뼈에 더 잘 붙고, 외부 압력에 강하며, 3D 프린터로 쉽게 출력할 수 있는 차세대 인공 뼈와 새로운 인공 뼈와 출력에 최적화 한 3D 프린터를 함께 개발한다.

    BGS-7는 뼈에 직접 붙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제품이 단단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고강도 생체활성 세라믹 신소재로, 시지바이오가 서울대학교 신소재 공동연구소와 약 10년에 걸쳐 개발했다.

    PSI 플랫폼은 병원에서 제공받은 CT 및 MRI 데이터를 시지바이오에 전송하면, 자사의 디자인 센터 전문가들이 임플란트 모델링을 완료한 데이터를 도출해 전 세계에 위치한 출력 센터에 제공하여 현지에서 3D 임플란트를 프린팅하는 플랫폼으로, 모든 과정은 원스톱(One-Stop)으로 이뤄진다.

    시지바이오는 3D 프린팅 이용 글로벌 맞춤형 임플란트 시장 규모가 2030년 90억 달러(한화 약 11조 5천억 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자체 소재를 보유하게 되면 단순히 해외에 진출하는 것을 넘어 세계 시장에서 확실한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했다.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는 “시지바이오는 이미 고강도 생체활성 세라믹 신소재 ‘BGS-7’으로 3D 프린팅 분야의 강점이 있으나, 그 기능성을 더욱 높여 미국 시장에서의 확실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며, “본 연구는 시지바이오가 미국에 이어 글로벌 3D 프린팅 시장으로 진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나아가 환자맞춤형 임플란트 치료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