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주말 낮 기온 30℃ 이상 예고…이것만 잘 지켜도 온열질환 예방

기사입력 2023.06.17 07:00
  • 이번 주말부터 월요일까지 낮 최고기온이 30℃ 이상 오를 것으로 예고되며, 온열질환 발생에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일부 내륙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는 기상청 브리핑에 따라 폭염 시 야외작업, 운동 등의 활동 자제하고 건강 수칙을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지난 5월 20일부터 6월 14일까지 운영한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올해 온열질환자는 추정 사망자 1명을 포함한 총 82명이 신고됐다. 이는 전년 동기간(77명)과 비슷한 수전이지만, 추정 사망자 발생 시기는 전년(7월 1일)보다 훨씬 이른 시기(5월 21일)다.

    현재까지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65세 이상이 29.3%였으며, 50대가 20.7%, 남자가 79.3%로 많이 발생했다. 또한, 온열질환 발생은 주로 실외 발생(68%)이 많았고, 특히 길가(20.7%), 실외 작업장(17.1%)과 논밭(15.9%)에서 많이 발생했다.

  • 이미지=질병관리청
    ▲ 이미지=질병관리청

    온열질환은 건강 수칙을 잘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한 만큼 폭염 시 야외작업, 운동 등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충분히 물을 마시고 주기적으로 휴식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

    폭염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가능한 낮 시간대(12시~17시) 활동을 줄이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해 시원하게 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온열질환자는 오전(10시~12시)에도 빈번히 발생하므로 야외 작업자는 오전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폭염 시에는 갈증을 느끼기 이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해야 하며,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활동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한다. 음주는 체온을 상승시키며, 다량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탄산음료는 이뇨 작용으로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음(과용)을 피한다.

    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등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은 더위로 인해 증상이 악화할 수 있으므로,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기존 치료를 잘 유지하면서 무더위에는 활동 강도를 평소보다 낮추는 것이 좋다.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는 자동차나 집에 혼자 남겨두지 않도록 하며, 부득이 외출할 때는 이웃이나 친인척에게 보호를 부탁해야 한다.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기고, 물수건‧물‧얼음 등으로 몸을 닦고,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체온을 내리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특히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아야 한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