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KT가 제안한 ‘AI·UAM 통신연동기술’, 국제표준 채택

  • 메타리즘
기사입력 2023.05.22 15:30
도심항공교통·AI 분야 기술 표준 SKT 주도로 승인
  • (사진제공: SK텔레콤)
    ▲ (사진제공: SK텔레콤)

    SK텔레콤이 제안한 도심항공교통(UAM)과 인공지능(AI) 분야 통신 연동 기술 표준이 국제회의에서 채택됐다. 

    21일 정보통신기술(ICT)에 따르면 지난 15~1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TU-T) SG11 회의에서 SKT가 공동 제안한 통신 서비스 연동 관련 세부 표준안 4건이 승인됐다.

    SKT는 UAM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인프라·통신 네트워크를 정의하고 기체와 정류장 역할을 할 ‘버티포트’ 사이 구조, 기능 및 연공 규격을 마련했다. UAM은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비행체를 이용해 도심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전기식 수직 이착륙 비행체로 ‘에어택시’라 불린다.

    또한 SKT는 AI 통합패키지인 ‘AI 풀스택’의 기능 및 구조를 제시하고, 신호·연동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AI 풀스택은 인프라부터 서비스까지 모든 AI 기술을 자체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한국공학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희대학교 등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 대학이 참여해 기술 역량 및 전문성을 모았다.

    ITU-T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표준 연구 및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약 190개 회원국에서 900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 가운데 연그구릅 SG11은 통신망 신호방식 분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다.

    이종민 SKT 미래R&D 담당은 “신기술 기반 서비스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 분야 표준을 선제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국내 기관과 유기적으로 협력해 관련 분야 기술 표준 확보를 빠르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메타리즘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