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분당서울대병원, 허리디스크 양방향 내시경 수술법 안전성 입증

기사입력 2023.05.02 12:42
  • 분당서울대병원 박상민 교수팀이 추간판 탈출증(허리디스크)을 치료하는 최신 수술법인 양방향 내시경 수술의 안전성을 전향적 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 입증했다고 2일 밝혔다.

    허리디스크를 치료하는 대표적인 수술법인 현미경 수수법은 연조직과 혈액 손실은 적고, 탈출한 디스크를 확실히 제거할 수 있어 성공률이 높지만, 수술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척추 주변 근육이 손상되고 척추뼈 일부를 제거하기에 허리가 약해진다. 이 때문에 다른 수술 방법보다 효과는 좋지만, 입원기간 및 회복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허리디스크를 치료하는 또 다른 수술법으로 양방향 내시경이 개발되었다. 양방향 내시경은 어깨 관절경에 사용하는 수술법과 유사해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시야가 넓은 카메라 사용, 양손이 자유로움 등 여러 장점이 있어 많은 의사가 선호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양방향 내시경 수술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박 교수팀은 양방향 내시경 수술을 받은 환자 32명과 현미경 수술을 받은 환자 32명을 비교·분석했다. 정확한 연구 결과를 위해 환자의 나이, 성별, BMI 등 생물학적인 요소를 비슷하게 구성했으며, 동일한 관찰을 위해 2019년 4월부터 2020년 11월 사이에 수술받은 환자만 선정했다. 환자들은 수술 후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을 사용해 검사했으며, 이후 추적관찰에는 X선 촬영(X-Ray)을 활용했다. 아울러 시각 통증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등 통증 관련 설문조사도 병행했다.

  • 양방향 내시경 수술법이 현미경 수술법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제공=분당서울대병원
    ▲ 양방향 내시경 수술법이 현미경 수술법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제공=분당서울대병원

    연구 결과, 양방향 내시경 수술법은 현미경 수술법보다 근육을 덜 손상시키고, 수술 후 통증이 적어 회복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수술 흉터도 극히 적게 남았다. 이외 ▲부작용 ▲재발률 ▲입원 기간 ▲수술 시간 ▲수술 후 합병증 등에서는 비슷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이와 같은 결과는 양방향 내시경 수술법 활용 시 의사가 편하게 수술할 수 있어 탈출한 디스크를 더 정확히 제거할 수 있고, 환자는 예후가 아주 좋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연구는 수술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임상 연구를 시행해 안정성을 세계 최초 입증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척추 분야 학술지인 ‘The Spine Journal’에 게재됐다.

    정형외과 박상민 교수는 “양방향 내시경 수술법은 깨끗하고 정밀한 수술로 기존 수술법보다 환자 예후가 더 좋다”며, “후속 연구로 해당 수술법에 대한 장기 안전성을 확인하고 부족한 점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허리디스크는 무리한 운동, 부적절한 자세 등 원인이 되는 요소를 피하고 집에서 충분한 관리를 한다면 대부분 호전된다. 하지만 심한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나 영구적인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하반신 마비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