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청소년기부터 40세 이전까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사례가 크게 늘며, 전 세계 당뇨 환자 약 5억 3,700만 명 중 90%를 차지하는 2형 당뇨병에 대한 20년간의 연구 결과를 모아 생리와 진료, 치료, 미래 방향까지 담은 논문이 공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임수 교수 연구팀(교신저자 영국 레스터대학 당뇨병 연구센터 Melanie Davies 교수)이 제2형 당뇨병의 역학과 병태생리, 선별 및 진단, 합병증, 예방, 관리 방법을 비롯해 최근 20년간 당뇨병 치료의 발전 양상과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까지 포괄적으로 담은 논문을 SCI 학술지 란셋(Lancet)에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
이번 연구에 따르면 당뇨병의 합병증과 이로 인한 사망을 막기 위해서는 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고위험군의 경우 병이 생기기 전에 식이요법, 운동 등을 통한 체중 감량으로 관리하면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최근 정밀의학의 발전과 함께 당뇨병에 대한 이해가 높아진 것은 물론 새로운 치료법들이 개발되고 있고, 완치를 향한 표적 치료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치료의 패러다임도 단순 혈당 조절을 넘어 환자 개개인이 중심이 되는 전인적 치료로 변화하고 있다. 즉 새로운 당뇨병 치료 약제인 SGLT-2 억제제, GLP-1 유사체 등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다만 의료진이 새로운 치료법을 시행하기 꺼리고 기존 방식에 고착하고자 하는 현상인 ‘임상적 타성’이 당뇨병 치료의 걸림돌로 남아 있다. 일례로 1,677명의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7%가 새로운 혈당강하요법에 대해 발표된 데이터에 대해 알고 있었고, 81.6%가 조기에 해당 요법을 시행하면 임상적 이점이 있다는 데 동의했음에도 불구하고 46.1%는 이러한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매우 늦은 시기에야 적용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또한, 연구팀은 출시된 지 오래된 약제 중 저혈당증이나 체중 증가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제품을 아직도 많은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점도 우려할 만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임상적 타성’은 진료 시간 감소, 사용 가능한 약물의 제한, 높은 의료비용이 실타래처럼 엮여 있는 복합적 문제로 이를 타개하기 위해 환자 중심의 다학제적 치료법을 활용하도록 제안했다. 의사와 환자가 적절한 치료 지침을 공유하고, 환자치료를 위해 의사뿐 아니라 간호사, 약사, 영양사 등 관계자들이 서로 협력해 다학제팀으로 일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임상적 타성을 완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최근에는 당뇨병 관리에 새로운 기술이 널리 사용되는 추세로 연속혈당측정기, 인슐린 자동 주입기 등이 1형 당뇨병 환자뿐 만 아니라 2형 당뇨병 환자에게로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고, 웨어러블 기술을 이용한 신체 활동 모니터링, 식사 칼로리 계산, 체성분 분석 기기 들이 당뇨병 환자 관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임수 교수는 “이번 논문은 최근 20년간 발표된 2형 당뇨병 관련 연구를 집대성한 것으로 향후 당뇨병 치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기술해 의미가 크다”며,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춘 다학제 진료로 치료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길 기대하며 앞으로도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 김정아 기 jungy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