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KT-서울대병원,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모델 ‘AI 리빙랩’ 구축

  • 메타리즘
기사입력 2023.04.20 14:36
내년 말까지 1200명 검사, AI 학습을 통해 모델 정교화 예정
  • (사진제공: SKT)
    ▲ (사진제공: SKT)

    SK텔레콤이 서울대병원과 함께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여부와 장애 정도를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하는 ‘영유아 발달진단 AI 리빙랩’을 구축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자폐스펙트럼 조기 진단이 만 18개월부터 가능하지만, 진료 가능한 병원들의 예약이 밀려있어 통상 만 5세가 되어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SK텔레콤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서울대병원과 함께 지난 2021년부터 자폐스펙트럼 아동들의 특정 행동을 학습한 AI 개발을 추진해 왔다고 설명했다.

    영유아 발달진단 AI 리빙랩은 행동 기반 AI 기술에 기반해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영유아를 조기에 진단하는 검사 공간으로 고성능 카메라 등 전문 행동 관찰 검사 장비가 구축된 검사실과 검사실의 장비를 통제하는 관찰실로 구성돼 있다.

    아동의 발달 지연이 우려되는 부모는 자녀와 함께 ‘AI 리빙랩’을 방문해 임상 전문가 안내에 따라 부모 설문, 행동관찰, 시선추적, 언어발달 등 검사를 받을 수 있다.

    SK텔레콤과 서울대병원은 AI 조기 학습과 모델 정교화를 위해 ‘AI 리빙랩’에서 내년 말까지 총 1200명을 검사하고, 개발된 AI를 API로 제공해 보호자용 애플리케이션이나 전문가 임상진단시스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엄종환 SKT ESG얼라이언스 담당은 “SK텔레콤 AI 기술이 사회적으로 선용될 수 있어 기쁘다”며 “향후에도 AI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도록 노력할 것”이라 전했다.

  • 메타리즘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