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

루닛, 폐암 돌연변이 예측 AI 모델 검증 결과 AACR 2023에서 공개

기사입력 2023.04.10 10:06
  •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이 미국 암학회(AACR 2023)에서 비소세포폐암(NSCLC) 돌연변이를 예측하는 새로운 AI 모델의 성능 검증 결과를 발표한다고 10일 밝혔다.

    연구진은 미국 국립보건원 빅데이터(TCGA) 비소세포폐암 병리 이미지에 루닛 스코프 기반의 AI 알고리즘을 적용해 새로운 AI 모델인 루닛 스코프 KRAS G12C 변이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25%를 차지하는 KRAS 유전자 변이 가운데 가장 흔한 변이인 KRAS G12C 돌연변이를 예측하기 위해서다.

  • 루닛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 IO' /사진제공=루닛
    ▲ 루닛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 IO' /사진제공=루닛

    연구 결과, 루닛 스코프 KRAS G12C 변이 예측 모델은 AI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진단 검정력(AUC, Area Under the Curve) 0.787의 높은 예측력을 보였으며, 독립적인 외부 데이터에 대한 검증에서도 0.745의 예측력을 보였다.

    사측은 이런 AI 기반의 돌연변이 예측 모델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있어야 하는 분자 유전학적 진단 방법 수행 전, 예측 결과를 미리 제공함으로써 의료진의 추가 검사 수행 여부 및 치료 방법 결정 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이밖에 루닛은 AACR 2023에서 다양한 암 세포에서 특징적으로 발현되는 다양한 표적 단백질을 탐지하고 정량화하는 AI 기반 이미지 분석기인 'UIHC(Universal Immunohistochemistry, 범용 면역조직화학염색 분석기)'의 성능을 검증한 연구초록과 진행성 담도암(BTC)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루닛 스코프를 활용한 연구 결과도 발표한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올해 AACR 학회에서는 루닛 스코프가 기존 면역항암제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의 역할 뿐 아니라 비소세포폐암 등의 돌연변이 예측 및 표적 항원 정량화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발표하게 되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루닛 스코프가 암 환자 맞춤형 치료법 제공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 범위를 적극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