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MZ, 미래 선도할 유망 산업으로 ‘AI·로봇’ 꼽아

  • 메타리즘
기사입력 2023.03.20 16:48
대한상공회의소 조사 결과, ’인공지능(AI)·로봇’,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 유망산업으로 꼽아
  • (사진제공: 대한상공회의소)
    ▲ (사진제공: 대한상공회의소)

    MZ세대(1985~2000년생)이 미래를 선도할 유망산업으로 인공지능(AI)·로봇을 꼽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민 1016명을 대상으로 ‘세대별 미래유망산업’을 조사한 결과 MZ세대의 30%가 AI와 로봇을 꼽았다. 이어 반도체(19.2%), 이차전지(11.1%), 콘텐츠산업(7.3%), 제약·바이오(6.4%) 순으로 나타났다.

    X세대(1975~1984년생)와 베이비부머 세대(1974년 이전 출생) 역시 미래 유망산업으로 AI·로봇, 반도체, 이차전지산업을 꼽았다. 다만 4위와 5위의 업종은 MZ세대와 달리 X세대는 항공·우주, 콘텐츠 산업을 베이비부머 세대는 그린산업(수소·태양광 등), 항공·우주를 선정했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전 세대에서 공통적으로 꼽은 3대 미래유망산업은 산업 전반에 걸쳐 융복합 영역 및 적용범위가 방대해 미래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집약 업종”이라며 “최근의 챗GPT 열풍과 전기차의 확산, 저출산 심화에 따른 대체인력 필요성 등 일상생활과 접목된 사회변화상도 국민들의 유망산업 선정에 큰 영향을 줬을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AI 기반 대화형 서비스인 챗GPT를 한 번 이상 사용해본 적이 있냐는 질문에 국민 3명 중 1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호기심에 한두 번 사용해 봤다’는 응답자가 30.2%, ‘실효성과 재미를 느껴 자주 사용한다’의 응답 비율이 5.6%다. 세대별로는 X세대(42.2%), MZ세대(40.2%), 베이비부머 세대(29.2%)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챗GPT의 결과 내용을 신뢰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보통(62.1%)’ 혹은 ‘그렇다(26.5%)’라는 답변이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10명 중 9명이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김 팀장은 “미래유망산업 관련 조사를 해외에서 한다 해도 결과는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며 “해당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업은 기술개발에 적극 나서고 정부는 인력양성, 연구개발(R&D), 세액공제 등 전방위 지원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 메타리즘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