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장마’로 설명하긴 어려워진 요즘 날씨…형태·용어 재정립 나선다

기사입력 2022.10.20 15:44
  • 기후변화로 급변하고 있는 여름철 강수 유형을 반영할 수 있는 용어 정립을 위한 논의가 시작됐다.

    기상청은 2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한국기상학회 특별분과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후위기 시대, 장마 표현 적절한가?’라는 주제로 7건의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 정용승 고려대기환경연구소장은 장마철 강수 지속 기간이 크게 변했고 단속적인 소나기와 국지적 폭우가 잦아지고 있어, 오랫동안 사용해온 용어인 장마의 표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서경환 부산대학교 교수는 기상청이 10년 만에 발간한 장마백서를 통해 장마의 시작과 끝을 더욱 정교하게 정의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장마철과 그 이후 강수 구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음을 알렸다.

  • 기상청 변영화 팀장은 과거 우리나라 강수 유형의 변화와 미래 전망을 소개했으며, 임교순 사무관은 올여름에는 장마철보다 장마철 이후에 더 많은 비가 내려 전체 강수량 중 장마철 강수량이 42.2%, 장마철 이후 강수량이 49.8%를 차지했으며, 중부와 남부 지역 간 강수량 차이가 458㎜로 1973년 이후 상위 2위를 기록할 정도로 지역별 차이가 뚜렷했다고 밝혔다.

  • 기후변화로 급변하고 있는 여름철 강수 유형을 반영할 수 있는 장마의 새로운 정의 또는 신규 용어가 도입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유희동 기상청장도 최근 한 언론과의 면담에서 기후변화로 과거와 달라진 여름철 비를 ‘장마’만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그 형태와 표현의 재정립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 이번 행사에서 진행된 토론에서 장은철 공주대학교 교수(장마특이기상연구센터장)는 장마가 종료된 후에 소나기 및 국지성 강수가 집중되는 현상이 자주 나타나는 만큼, 최근 여름철 강수 발생 과정과 특징들이 전통적인 장마의 특성과 부합하는지 추가 연구를 통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근영 한겨레 선임기자는 기상청과 학계에서 사용하는 전문용어로서의 장마는 국민이 이해하는 일반용어와 간극이 있으므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용어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했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여름철 강수 특성이 변화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기에, 적절한 형태의 구분과 표현을 찾기 위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장마’는 온 국민이 수백 년 이상 사용해 온 친숙한 용어인 만큼 간단히 결정할 사항이 아니므로, 학계와 산업계는 물론 국민의 의견을 종합하는 과정을 거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기상청이 발간한 장마백서는 10월 21일 기후정보포털을 통해 전자파일로 제공된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