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금이 매끄럽지 않은 이유, AI가 찾아냈다

기사입력 2022.10.06 11:57
UNIST, 금 표면에 나타나는 헤링본 질감 원인 머신러닝으로 밝혀
  • 금 표면에 나타나는 헤링본 질감의 모습. /UNIST
    ▲ 금 표면에 나타나는 헤링본 질감의 모습. /UNIST

    미제로 남아있던 금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이유가 밝혀졌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펑 딩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원자 수준의 금 표면에 헤링본 질감이 나타나는 이유’를 인공지능(AI)으로 찾아냈다고 6일 밝혔다. 금의 표면 원인 분석에 AI가 적용돼 성과를 낸 만큼 향후 관련 연구에도 기술 적용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은 육안으로 보면 매끈한 표면을 지녔지만 나노 수준에서 관찰하면 V자가 반복되는 ‘헤링본’ 무늬가 나타난다. 이 무늬가 왜 나타나는지는 표면 연구자 사이에서 중요한 과제였다. 금이 과학 분야에 다양한 재료로 사용되는 만큼 금의 특성을 이해해야 다양한 기술을 응용·접목할 수 있어서다. 실제로 금은 분자의 자기조립을 유도하는 밑판이나 2차원 물질을 기르는 지지체, 탄소 나노 리본의 합성을 위한 촉매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금에 헤링본 무늬가 나타나는 이유는 수수께끼로 남겨져 있었다. 펑 딩 교수팀은 이 원인을 찾기 위해 머신러닝 기술 중 하나인 인공신경망을 활용했다. 계산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금 표면 구조와 물질 내부와의 관계를 사람이 일일이 풀기 어려우므로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것이다.

    펑 딩 교수는 “전통적 접근으로는 10만 개 이상의 원자가 포함된 나노 구조의 움직임을 계산하기 어렵다”며 “원자 단위의 움직임을 매우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 기술 덕분에 금이 가지는 특별한 구조의 원리를 밝힐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금 표면의 최상층의 원자 수는 바로 아래층보다 4% 정도 더 많다. 이 때문에 최상층의 몇몇 원자들은 불안정한 위치에 놓인다. 최상층 원자가 이 위치에서 벗어나 안정을 찾으려면 위로 조금 이동해야 하는데 이때 금 표면에 변형이 생긴다. 그 결과 금 표면에 헤링본 무늬가 형성되는 것이다. 

    연구팀은 인공신경망을 통해 금 원자들에 주어지는 힘들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최상층 아래에서 무시할 수 없는 변형이 일어난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런 변형은 금 원자층이 두꺼울수록 심했다. 금의 두께가 얇으면 내부 변형이 억제돼 헤링본 대신 줄무늬가 나타났다.

    펑 딩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신소재 연구에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해 각종 재료의 복잡한 표면 구조와 발생 원리를 알아낸 사례”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됐다. 논문은 현지 시각 10월 5일 공개됐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