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병원이 자폐 문제행동 완화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서울대병원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이상행동 및 문제행동 디지털 치료제 개발’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약 40억 원을 예산이 투입하며, SK텔레콤, 옴니CNS, 에코인사이트, 크리모, 돌봄드림, 이모티브, 에어패스, 동국대학교 인공지능융합연구소도 함께 참여한다.
-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김붕년 교수팀은 2024년 12월까지 ‘자폐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 완료한다는 계획으로 이번 연구에 착수했다. 이번 연구는 ▲감각 이상 및 집착을 완화하는 XR 기반 신체활동 촉진 치료제 ▲시공간 통합 능력 및 실행 기능 향상하는 스마트토이 활용 치료제 ▲행동 억제력 결합 및 상동적 행동 집착 완화하는 모바일게임 기반 인지행동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밖에도 부모 매개 ABA(응용 행동 분석) 인지행동치료 훈련 앱, 치료자 주도 ABA 연계 디지털 치료 앱 등의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소아청소년정신과 김붕년 교수는 “이번 연구로 개발될 자폐스펙트럼장애 디지털 치료제는 향후 약물치료 및 행동치료 모델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편견이 바로 잡힐 수 있도록 새로운 치료기법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한편,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아동의 약 1~2%에서 발병하는 신경 발달장애로,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 정서적 상호작용의 문제, 반복적 행동과 제한된 관심 등이 주요 특징이다. 발병 원인은 유전적·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알려졌으며, 최근에는 사회적 뇌의 구조 및 기능 발달 이상과 관련된다는 보고가 늘고 있다. 2020년 기준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인구는 2010년 대비 약 2배 증가한 3만 1천 명에 달해 10년 새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이상·문제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약물치료는 장기화할 경우 부작용 가능성이 높고, ABA 기반 행동치료는 비용 부담이 크다. 치료기관 또한 일부 지역으로 편중돼 이를 이용하는 데도 제약이 있다.
- 김정아 기자 jungy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