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자연 발생 발암물질 ‘벤조피렌’ 독성 낮추는데 효과적인 식품은?

기사입력 2018.01.17 17:51
  • 1급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의 독성을 낮추는데 가장 효과적인 식품은 어떤 것일까?

    2016년 벤조피렌 저감화 사업의 하나로 수행한 동국대 성정석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상추, 양파, 마늘 등이 벤조피렌의 체내 독성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벤조피렌은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발암물질(1군)로 분류된 독성물질로, 식품의 조리·가공 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이 분해되어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이번 연구에는 검은콩, 깻잎, 대두, 대파, 마늘, 메밀, 무, 미나리, 상추, 셀러리, 쑥, 양배추, 양파 등 채소류 13종과 딸기, 사과, 아몬드, 유자, 홍차, 엉겅퀴, 계피 등 후식으로 먹는 과일·차 7종을 사용했으며,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품 유래 단일성분 27종에 대한 효과 측정도 함께 진행됐다.

  • 사진=픽사베이
    ▲ 사진=픽사베이

    그 결과 세포 생존율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준으로써 벤조피렌 체내 독성 저감률이 15% 이상인 식품은 셀러리(20.88%), 미나리(18.73%), 양파(18.12%), 상추(15.31%)와 후식으로 먹는 계피(21.79%), 홍차(20.85%), 딸기(18.76%) 총 7종과 식품 유래 단일성분은 퀘세틴(36.23%, 양파), 실리마린(29.59%, 엉겅퀴), 커큐민(28.35%, 강황), 미리세틴(23.97%, 마늘), 타마리세틴(22.98%, 쑥), 유제놀(18.61%, 계피), 캠퍼롤(17.48%, 상추), 아스코르빈산(16.26%, 사과 등) 총 8종으로 나타났다.

  • 높은 벤조피렌 체내 독성 저감률을 보인 이들 식품과 단일성분은 발암 가능성도 낮추는 효과를 보였는데, 식품에서는 상추(60%), 홍차(45%), 양파(40%), 셀러리(20%) 순, 단일성분에서는 미리세틴(65%, 마늘), 아스코르빈산(50%, 사과 등), 캠퍼롤(45%, 상추) 순으로 발암성 억제 효과가 높았다.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삼겹살 등을 구워 먹을 때 채소와 함께 먹는 우리 식습관이 벤조피렌의 체내 독성을 낮추는 데 실제로 도움이 되는 만큼 구이류(생선, 육류), 식육가공품, 훈제건조어육 등을 섭취할 때는 상추, 마늘, 양파, 셀러리 등 채소와 함께 섭취하고 식후에는 홍차나 수정과를 마시거나 딸기 등 과일을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