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만 오토모티브 / 하만 인터내셔널 코리아 제공

삼성전자의 자회사 하만이 오는 10일까지(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자동차를 운전하고 자동차를 타는 것의 의미를 재정의하는 지능형 상황 인식 기술 및 제품을 선보였다.

하만은 CES 2025에서 자동차를 더욱 스마트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공감 능력을 갖춘 레디 제품 최신 포트폴리오 공개했다.

먼저 레디 포트폴리오는 운전자와 승객의 요구를 이해하고 이에 적응하는 공감형 차량 내부 시스템을 통해 자동차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이러한 기술은 첨단 센서, 액추에이터 및 몰입형 디스플레이를 통합해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드라이빙 여정을 지원한다.

하만 오토모티브, 레디 케어 / 하만 인터내셔널 코리아 제공

레디 케어의 차량 내 모니터링 제품은 인공지능(AI)와 신경과학을 사용해 운전자의 인지 및 시각적 부하와 호흡 속도를 모니터링한다. 주의 산만이나 졸음을 감지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개입을 제공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등 공감 능력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새로운 V2N(Vehicle-to-Network, 차량-네트워크 간 통신)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제품인 레디 어웨어는 도로 위험을 예측하고 의사 결정을 향상시키는 정밀한 머신러닝 기반의 경고를 제공함으로써 상황 정보를 추가해 보다 스마트하고 안전하며 개인화된 주행 경험을 선사한다. 삼성 네오 QLED로 구동되는 하만의 레디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조명 조건에서 최적의 가시성을 제공하기 위해 자동차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디스플레이 밝기를 한층 강화했다.

텔레매틱스 제어 장치(TCUs) 제품군인 레디 커넥트는 외진 지역에서도 차량이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성에 지능과 공감 능력을 불어넣었다. 4G에서 5G로, 그리고 5G에서 위성 통신으로 모듈식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레디 커넥트는 자동차 제조업체의 복잡한 개발 프로세스를 줄이면서 차량이 외부의 세상과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업계 최초로 텔레매틱스 제어 장치(TCU)에 위성 통신을 도입한 레디 커넥트는 엔터테인먼트, 생산성 및 상황 인식을 도와 기술이 탑승자의 요구를 매 순간 이해하고 이에 대응해 향상된 주행 경험을 제공한다.

레디 링크 마켓플레이스는 맞춤형 차량용 앱, 서비스 및 기능을 제공해 자동차 제조업체가 반복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차량의 라이프사이클을 연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50개 이상의 앱과 예측적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같은 가치 중심 기능을 통해 자동차 제조업체는 사용자 참여를 강화하고 진화하는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지원하는 하만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서비스(AES)는 소프트웨어 기반 제품의 효율적인 배포를 보장함으로써 통합 문제를 해결해 자동차 제조업체가 솔루션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레디 포트폴리오는 진화하는 소비자 및 자동차 제조업체의 요구에 부응하는 혁신 기술로 차량 내 경험을 재정의한다. 하만은 삼성의 소비자 기술 전문성과 하만의 자동차 혁신 기술을 결합해 현재와 미래의 자동차를 위한 혁신적이고 직관적이며 공감 능력을 갖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독보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아민 프로머스버거 하만 인터내셔널 최고 기술 책임자는 "하만은 운전 상황을 종합해 실제 차량 상황에 맞는 차량 내 경험으로 전환함으로써 자동차 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하고 있다"며, "하만의 지능형 솔루션 포트폴리오는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하며, 제품은 기술적으로 입증된 탁월한 제품 그 이상"이라고 말했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