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들불처럼 번지는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쿠팡, 다이소 등 전전긍긍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시작된 ‘일본제품 불매운동’의 확산이 심상치 않다. 일본제품 불매운동은 “(한국 소비자의) 불매운동이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던 유니클로 임원의 말을 보기 좋게 뒤집으며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 쇼핑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일본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노노재팬’은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에 오르며 사이트 접속이 한때 마비되기도 했다. 133만여 명의 회원 수를 자랑하는 일본 여행 정보 카페 ‘네일동’은 일제 불매운동을 지지하며 17일 임시 휴면에 들어갔다. 이외에도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지지하며 동참하는 이들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일본제품 불매운동의 불똥은 쿠팡, 다이소 등 유통업체에도 튀었다. 최근 SNS를 중심으로 이들 업체가 ‘일본 기업’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며, 많은 이가 이들 업체에 대해서도 불매운동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이에 쿠팡은 18일 “쿠팡에 대한 거짓 소문에 대해 알려드립니다”라는 장문의 글을 올려 적극적으로 해명에 나섰다. 쿠팡 측은 설명문을 통해 국내 일자리 창출과 물류 인프라 건설을 들어 한국기업임을 강조하며 헛소문과 거짓 뉴스를 퍼뜨리는 일부 집단에 대한 경계심을 나타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쿠팡의 해명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싸늘한 실정이다. 쿠팡의 해명을 다룬 기사 댓글에는 “이익금이 일본으로 가고, 일본 자본으로 운영 중이면 일본과 무관하다 할 수 없다”, “쿠팡은 투자받은 것만 3조. 손정의가 한국계면 돈도 한국 거냐?”와 같이 비판적인 목소리가 많다.
실제 온라인에는 쿠팡의 지주사인 미국의 쿠팡LLC의 지분 40%가 소프트뱅크의 손정의회장의 일자본으로 그 이익이 고스란히 해외로 빠져나간다는 우려가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다. 해당 기업이 수 천억 원의 적자를 보고 있지만, 기업가치가 10조로 평가되는 만큼 결국 일본 투자가들은 기업매각을 통해 이득을 본다는 주장이다.
연간 1조 원에 이르는 인건비를 우리 국민들에게 지급하고 있다는 쿠팡의 해명에 대해서도 해외 투자유치를 위해 외국인 임원진을 대거 영입하는데 쓰는 돈이 훨씬 많다는 비판이다. 실제 쿠팡의 외국인 임원에게는 수억 원의 연봉 이외에 강남에 아파트 월세와 자녀 국제학교 교육비 등이 지원된다고 한다.
손정의 회장의 한국인 논란도 일고 있다. 대구 동구청에서 손 회장을 고향에 초청하기 위해 몇 년 전까지 추석 무렵이면 인근 조상 묘까지 벌초하는 등 정성을 들였지만, 손 회장으로부터 이렇다 할 답변이 없어 관리가 중단된 사례를 들어 재일교포일 뿐이란 주장이다.
쿠팡 이외에도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일본기업으로 언급되고 있는 다이소, 세븐일레븐, 롯데 등의 업체들은 일본과 무관하다며 선을 긋고 있다.
이에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일본과 관련된 기업이나 브랜드들이 온라인을 중심으로 소비자들 사이에서 급속히 회자하며 매출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며, “일본 기업으로 지목되는 기업들은 불매운동에 엮이지 않도록 해명자료를 내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유통업계의 분위기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