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해외시장에서 한국 가요, 드라마, 영화에 대한 전 세계의 관심이 기초예술까지 퍼지고 있는 가운데, 이른바 'K-컬처'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한국 공예에 관한 관심이 뜨겁다. 지난 2022년 정다혜 작가의 '로에베(LOEWE) 재단 공예상' 수상을 기점으로 여러 공예인이 샤넬 등 글로벌 명품 브랜드의 러브콜을 받으며 분주해졌고 서울 곳곳에서 장인과 전도유망한 공예인을 조명하는 전시가 늘어나는 등 한국 공예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처럼 한국의 공예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한국 공예의 우수성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예품의 유통망과 판로를 확장해 공예 작가들이 창작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작품 판로가 원활하지 않은 탓에 경제적 어려움에도 묵묵하게 열정을 다하고 있는 공예가들을 위한 유통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 공예산업 매출 규모는 약 5조 2천억원(2022 공예산업 실태조사 기준)으로 추산된다. 종사인원은 6만 4천여명, 공예사업체는 대부분 개인 사업체(86.0%) 형태로 운영되고 있고 실제 사업체 종사자 수도 대부분 5인 미만으로 소상공인 위주다. 공예 산업은 전통공예, 현대 공예, 디자인 상품 등의 형태로 명맥을 이어 왔는데 생활용품 시장 등을 중심으로 대량 생산 제품에 밀려 가격 경쟁력이 낮았다. 공예가와 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위해서는 우수한 공예인력을 통해 공예에 대한 관심을 소비, 유통, 교육 등 공예 시장의 활성화로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해외 사례를 보면 프랑스의 경우 아틀리에(Atelier)를 중심으로 공예 매개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으며 공예인 연합회의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통해 젊은 공예 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장인(匠人) 기업의 현장형 도제 교육을 통해 장인과 학생을 매칭한 장기 프로젝트 등 공예 인력간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기회 창출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영국은 공예를 창조산업의 한 분야로 인식해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공예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각 분야전문가들이 전하는 생생한 현장의 노하우
교육 사업분야 3
새로운 공예시장을 이끌어갈 공예매개자들의 행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