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관제시스템, 안전한 대한민국 만든다”
-
[편집자 주] 인공지능(AI)이 일상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비즈니스나 연구 용도를 넘어 국민 모두가 AI로 인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시대가 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9월 ‘초거대 AI 산업 도약 방안’을 발표하며 올해부터 일상과 일터, 국민안전·행정 등 각 분야에 AI를 단계적으로 도입해 ‘전 국민 AI 일상화’를 실현하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일상에서 AI는 어떻게 활용될까요? 「AI 일상화」 기획에서 일상 속 AI를 깊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
2013년 12월 아르헨티나 도시 코르도바가 무법천지가 된 적이 있다. 경찰이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파업하자 치안에 공백이 생긴 것이다. 마트와 가게가 약탈당하고 사망자와 부상자도 연이어 발생했다.
아르헨티나 사건은 평상시 치안 확보가 국민 일상에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는 교훈이 되고 있다. 치안에 구멍이 뚫리면 일상이 뒤흔들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여서다. 이 구멍을 채울 수 있는 또 다른 요소는 CCTV다. 각 도시와 도로에 설치된 CCTV는 범죄 예방, 사고 예방 등 국민 안전에 기여하고 있다. 24시간 도시를 경계하는 ‘눈’ 역할을 하면서 혹시 모를 범죄를 예방하고 발생 시 증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CCTV도 한계는 있다. 실시간 예방이 어렵다. 증거를 남겨 범죄자를 추적할 수 있고 때문에 사전에 범죄를 예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실제로 범죄가 발생할 때 이를 실시간으로 막진 못한다. 범죄뿐이 아니다. 화재가 발생하거나 2022년 할로윈 기간에 발생한 이태원 압사 사고도 CCTV는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사람으로 따지면 CCTV는 눈처럼 볼 수만 있을 뿐 행동하진 못해서다.
이 때문에 CCTV에 인공지능(AI)을 입히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눈 역할을 하는 CCTV에 AI라는 뇌를 탑재 중이다. 이미 해당 기술은 많이 진척돼 일부 지자체에선 관제소를 지능형으로 만들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25일 핼러윈을 앞두고 AI CCTV를 활용해 인파 밀집 위험 징후를 알리는 인파감시 시스템을 점검했다.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은 광진구 건대맛의거리를 찾아 직접 현장을 살폈다. 행정안전부도 3일 뒤 서울 중구청 통합안전센터에서 AI 영상분석 기술을 점검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을 비롯해 이한경 행안부 재난안전관리 본부장, 김길성 중구청장 등은 ‘이상행동 및 인파밀집’ 관련 지능형 CCTV 영상관제 시연을 참관했다.
-
이러한 움직임은 현재 관제소의 한계 때문이다. 지금 지자체 등에 있는 관제소에는 CCTV 영상을 계속 감시하는 인력이 있지만 워낙 화면이 많아 모든 영상을 보긴 어렵다. 한 지자체 관제소에서 근무하는 담당자는 “현재 관제시스템은 30명 정도 인력이 3교대로 8시간씩 CCTV 영상을 감시하고 있다”며 “지자체에 있는 CCTV가 워낙 많은 만큼 화면이 지속 순환돼 화재나 범죄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실시간 알아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관제는 피로감과 무력감이 크고 책임도 따르기 때문에 공무원들이 선호하는 역할이 아니다”면서 “사실 용역회사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비전 AI 기반 지능형 CCTV 기술을 공급하는 인텔리빅스의 최은수 대표는 기존 ‘VMS(Video Managemnt System)’를 넘어서야 진정한 AI 기반 안전망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텔리빅스는 영상 속 이벤트를 AI로 탐지하고 분석하는 비전 AI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다. 서울시가 핼러윈을 앞두고 점검한 AI 기반 인파감시 시스템도, 행정안전부가 살핀 이상행동 및 인파밀집 영상관제 시스템도 모두 인텔리빅스가 만들었다.
최 대표는 현재 VMS의 한계에 대해 “있어도 못 본다”고 설명했다. CCTV를 보는 관제사가 있지만 워낙 많은 영상을 봐야하고 계속 영상이 뒤바뀌기 때문에 특별한 이벤트를 사람이 찾아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대신 이 역할을 AI가 보조해 이벤트 발생 시 그 영상을 사람에게 정확히 보여준다면 훨씬 지능적인 관제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화재가 발생했거나, 건물 밖을 배회하거나, 칼을 들고 다니는 사람이 있거나, 인파가 밀집했을 때 해당 상황을 AI가 자동으로 알려준다면 해당 내용을 실시간으로 사람이 알아채 대응할 수 있다”며 “이젠 VMS를 AMS(AI Monitoring Service)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
◇기존 관제시스템의 한계 극복한 AMS, ‘예방 안전’ 열쇠 된다
AMS는 영상 속 이벤트를 AI가 탐지해 이상이 있는 경우 관제 직원이나 담당자에게 알려주는 관제시스템이다. 공사장에서 현장 직원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았거나 위험한 장비 옆에 있을 때 이를 탐지해 해당 직원과 관리자에게 동시에 알려줄 수 있고, 길에서 사람이 쓰러졌거나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빠르게 알려줘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게 돕는다.
해당 기술은 AI 분야에선 이미 오래된 기술로도 평가된다. AI 기반 영상분석 기술은 현재 인기인 생성형 AI보다 훨씬 전에 등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 활용 사례는 크지 않다. 최 대표는 이 기술을 탑재해 AMS를 구현한다면 AI를 이용해 국민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고 밝혔다. AI 일상화의 긍정 효과를 안전에서부터 구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AMS 구현엔 큰 비용과 어려움이 따르지 않는다. 전국 지자체의 CCTV를 지능형 CCTV로 교체할 필요가 없고 통합관제센터 시스템을 바꿀 필요도 없다. 현재 정부가 구축해놓은 통합관제센터 시스템에 AI만 탑재하면 된다. CCTV에서 실시간으로 이벤트를 탑지해낼 수 있도록 ‘AI 엣지 박스’도 개발했다. CCTV가 촬영한 영상을 서버까지 가져와 분석하지 않고 디바이스 자체에서 분석할 수 있는 영상분석 장치다. 서버까지 정보를 보내지 않아도 돼 보다 빠르게 영상을 분석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과 통신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박스 하나당 카메라 4대까지 분석 가능하다. CCTV 사각지대나 지능형 관제시스템이 어려운 구역에 이 박스를 설치하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 대표는 “VMS는 보통 사고 대처에 주로 역할을 했다”면서 “AMS는 예방 안전 목적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정말 국민이 안전한 일상을 보내기 위해선 AMS를 활용한 예방 안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모바일에서도 구현하는 AI 안전망 개발 목표
최 대표 설명에 따르면, AMS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단순히 사고를 알리는 것을 넘어서 도시 안전 설계를 할 수 있다. CCTV를 분석한 데이터를 토대로 어느 길이 얼음이 많은지, 어떤 길이 낙하물이 많아 태풍 발생 시 낙하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는 지를 분석할 수 있어서다. 고속도로에 사고가 자주 발생한 곳을 별도로 표시하는 것처럼 도시 내 전반적인 안전을 데이터 기반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사건 사고 등의 이벤트도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인텔리빅스는 자체 영상분석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보통 영상분석 AI 기업의 경우 오픈소스로 공개된 12종 이벤트만 감지할 수 있다. 반면 인텔리빅스는 자체적으로 기술이 있어 오픈소스 외 더 많은 이벤트를 탐지해낼 수 있다. 인파 밀집이나 칼부림 등의 이벤트를 만든 것이 대표 사례다. 실제로 인텔리빅스는 현재 36종의 이벤트를 제공하고 있다.
최 대표는 이러한 다양한 이벤트를 탐지해낼 수 있는 AMS를 모바일 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이를 토대로 ‘대한민국 안전지도’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어느 도시에 화재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 책임자가 현장에 없더라도 스마트폰으로 현장 상황을 바로 알고 조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고 했다. 그는 “CCTV 영상 속 이벤트를 AI가 자동으로 알려주면 관리자가 모든 영상을 보지 않아도 상황을 빠르게 알 수 있다”면서 “이를 모바일로 구현해 낸다면 관리자나 책임자가 어디에 있어도 현장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전국 단위로 구현한다면 대한민국 안전 지도를 모바일로 만들어낼 수 있다”면서 “현재 행정 책임별로 CCTV가 호환이 안 되는 어려움이 있지만 지속 소통해나가고 기술을 고도화한다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금보다 훨씬 안전한 일상을 살아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김동원 기자 theai@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