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소비자원, 음료·컵라면 등 62.3% 점자 없거나 가독성 낮아…“개선 필요”

기사입력 2022.09.15 15:06
  • 음료, 컵라면, 우유 등 주요 식품에 제품명이나 유통기한 등의 정보가 점자로 표시되지 않아 시각장애인들은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소비자원(이하 소비자원)에 따르면 소비자가 자주 섭취하는 음료, 컵라면, 우유 제품에 대해 점자 표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점자 표시율이 37.7%로 저조하고 표시한 제품도 가독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원은 이같은 조사를 위해 국내 14개 식품 생산업체의 음료, 컵라면, 우유 총 321개 제품의 점자 표시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9개 업체의 121개(37.7%) 제품만 점자 표시가 되어있어 표시율이 저조했다.

  • 제품별 점자 표시 예제 / 사진=한국소비자원 제공
    ▲ 제품별 점자 표시 예제 / 사진=한국소비자원 제공

    식품의 점자 표시가 법적 의무사항은 아니어서 조사대상 사업자 및 제품 종류별로 주요 정보의 점자 표시율에 차이가 컸다. 음료 조사대상 7개 업체 중에서는 롯데칠성음료(주)가 생산하는 제품의 점자 표시율이 64.5%로 가장 높았고, 컵라면 조사대상 4개 업체 중에서는 오뚜기라면(주)이 63.2%로 가장 높았다.

    제품 종류별로 살펴보면, 음료는 191개 제품 중 49.2%(94개)에 점자 표시가 있었는데 캔은 89개 중 89.9%(80개), 페트병은 102개 중 13.7%(14개)에 점자를 표시하여 용기 재질에 따라 차이가 컸다. 컵라면은 90개 제품 중 28.9%(26개), 우유는 40개 제품 중 1개(서울우유, 3,000mL)만 점자 표시가 있어 음료에 비해 점자 표시율이 낮았다.

    음료는 제품명 대신 ‘음료’ 또는 ‘탄산’으로 점자 표시하는 경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점자 표시가 있는 121개 제품을 대상으로 세부내용을 조사한 결과, 음료(94개) 중 85.1%(80개)가 ‘음료’ 또는 ‘탄산’으로 표시하고 14.9%(14개)만 제품명(예: 칠성사이다)을 표시하고 있었다.

    반면, 컵라면 26개 제품은 모두 전체 제품명 또는 제품명을 축약하여 표시했고, 우유 제품은 업체명을 표시하는 등 제품 종류별로 내용에 차이가 있었다. 식품의 유통기한은 조사대상 전 제품에서 표시하고 있지 않아 시각장애인이 구매 후 보관 과정에서 변질된 식품을 섭취할 위험이 일반인에 비해 높았다.

  • 점자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실제 가독성은 낮았다. 점자 표시가 확인된 78개(음료류 51개, 컵라면 26개, 우유 1개) 제품의 가독성을 조사한 결과, 92.3%(72개)가 가독성 평가에서 ‘중’ 미만(2점 미만, 3점 척도 기준)의 낮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페트병 음료는 점자의 촉감이 약하고 점의 간격이 넓어서 가독성이 1.04점으로 가장 낮았다. 캔 음료는 캔의 테두리와 점자의 위치가 가까워서 가독성이 낮았고, 컵라면은 용기에 부착된 비닐 포장이나 점자 표시 방향(세로)이 불편하여 가독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우유 1개(3,000mL) 제품은 가독성이 2.95점으로 조사대상 식품 중 가장 높았다.

    시각장애인 80% 이상이 제품명, 유통기한 등 식품 정보 점자 표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류, 라면류(컵라면), 우유류 중 1개 이상의 제품을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경험이 있는 시각장애인 192명을 대상으로 식품을 구매할 때 선호하는 경로를 설문한 결과, 오프라인 매장에서 식품 구매를 선호하는 응답자는 61.5%(118명)로 온라인 선호 응답자 38.5%(74명)보다 많았다.

    오프라인 매장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필요할 때 바로 구매가 가능해서’가 39.8%(47명)로 가장 많았고, 온라인 매장을 선호하는 이유는 ‘식품에 점자 표시 등이 미흡하여 매장에서 구매하기 어렵다’가 33.8%(25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품 점자 표시와 관련한 불편 경험 유무에 대해 캔·페트병 음료류는 83.3%, 컵라면은 74.0%, 우유류는 67.7%가 불편을 경험한 것으로 응답했고, 불편 이유에 대해서는 ‘점자 표시가 없었다’는 응답이 음료류 71.9%, 컵라면 67.6%, 우유류 75.4%로 모든 품목에서 가장 높아 개선이 필요했다.

    또한, 식품에 표시되길 희망하는 점자 내용으로는 음료류, 컵라면의 경우 제품명이 각각 80.7%(155명), 84.9%(163명)로 가장 많았고, 우유류의 경우 유통기한이라는 응답이 88.0%(169명)로 가장 많았다.(복수응답)

    한국소비자원은 “시각장애인의 소비생활 편의성 제고를 위해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식품 점자 표시 활성화 및 가독성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을 권고”하고, 아울러 식품 점자 표시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한국소비자원 SNS를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