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만성 중증질환자, 임종 임박 시 증상 완화 치료는 31.5%에 불과

기사입력 2022.07.18 10:16
  • 많은 만성 중증질환자가 임종이 임박한 순간 응급실을 찾지만, 진통제 등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를 받은 사례는 31.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유신혜 교수·세종충남대병원 김정선 교수팀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대병원 응급실에서 질병으로 사망한 성인 환자 222명을 대상으로 생애 말기 의료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크게 임종 전 중증 치료 및 편안한 증상 조절 현황과 사전 돌봄 계획으로 나눠 응급실에서의 임종 현황에 대한 통계 분석을 수행했다.

  • 임종 전 24시간 중증치료 및 편안한 증상 조절 비율(%) /이미지 제공=서울대병원
    ▲ 임종 전 24시간 중증치료 및 편안한 증상 조절 비율(%) /이미지 제공=서울대병원

    분석 결과, 임종 전 24시간 동안 응급실에서 ▲심폐소생술(27.5%) ▲인공호흡기 치료(36.0%) ▲혈액 투석(0.5%) ▲체외막산소요법(0.5%) 등의 중증 치료를 받는 비율은 39.6%였다. 특히 중증 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환자는 혈액검사(92.3%)와 승압제 투여(62.6%)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종 전 24시간 동안 마약성 진통제 등 편안한 증상 조절을 받은 환자는 31.5%에 불과했다.

    또한, 연구팀은 연명의료 법정 서식을 작성한 환자들은 미작성 환자에 비해 응급실에서 중증 치료보다는 편안한 증상 조절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 연명의료 법정 서식 작성 현황 /이미지 제공=서울대병원
    ▲ 연명의료 법정 서식 작성 현황 /이미지 제공=서울대병원

    사전 돌봄 계획 논의 여부에 대한 통계분석에 따르면, 응급실 내원 전 21.2%(47명), 내원 후 67.6%(150명)로 사전 돌봄 계획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를 통해 사망 전 본인의 의사를 밝힌 환자는 27.0%(60명)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연명의료 법정 서식 작성 현황을 암환자와 비암환자로 나눠 분석한 결과에도 주목했다. 연명의료 법정 서식을 작성한 비율은 암환자 72.5%, 비암환자 27.5%였다. 응급실 내원 전 사전 돌봄 계획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비율도 암환자 28.4%, 비암환자 8.6%로 암환자가 비암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BMC 완화의료학회지(BMC Palliative Care)’ 최근호에 게재됐다.

  •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완화의료 임상윤리센터 유신혜 교수, 세종충남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정선 교수 /사진 제공=서울대병원
    ▲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완화의료 임상윤리센터 유신혜 교수, 세종충남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정선 교수 /사진 제공=서울대병원

    유신혜 교수(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는 “연명의료 결정법 정착 이후 지난 3년간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환자가 응급실에서 임종 전 편안함을 위한 증상 조절을 받지 못하고 임종한다”며 “응급실 임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불필요한 검사 및 처치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