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혈액 분석으로 위암 항암제 효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발견

기사입력 2022.04.20 10:42
  • 혈액 분석으로 위암 항암제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발견되어, 해당 바이오마커가 수술이 불가능한 위함 환자의 맞춤형 치료 개발의 토대가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 서울아산병원 위장관외과 이인섭 교수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
    ▲ 서울아산병원 위장관외과 이인섭 교수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

    서울아산병원 위장관외과 이인섭 교수팀은 미국 시티 오브 호프 종합 암센터(City of Hope Comprehensive Cancer Center) 의료진과 함께 수술이 불가능한 전이성·국소진행성 위암 환자의 혈액 유전체 정보를 분석한 결과, 항암제 치료 결과가 좋지 않은 환자들에게서 과발현되는 마이크로RNA(miRNA) 2개를 발견했다고 최근 밝혔다.

    수술이 불가능한 전이성·국소진행성 위암 환자 대부분은 플루오로피리미딘과 플래티넘 항암제 병용 요법으로 치료받는다. 하지만 일부 환자에게만 치료 효과가 나타나고, 나머지 환자에게서는 오히려 종양이 더 진행되고, 전신 건강 상태가 악화하는 등 항암제 독성으로 인해 추가 치료가 어려워진다.

    이인섭 교수팀은 미국 시티 오브 호프 종합 암센터에서 전이성·국소진행성 위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유전적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혈액 RNA 염기서열분석을 실시했다. 12명 중 8명은 플루오로피리미딘과 플래티넘 항암제 병용 요법에 효과가 있었으며 4명은 효과가 없었다.

    연구팀은 530여 개의 마이크로RNA 중에서 항암제에 치료 반응이 좋지 않았던 환자군에서 과발현된 9개의 마이크로RNA를 찾아냈다. 이후 동일한 마이크로RNA에 기반한 바이오마커가 국내에도 적용할 수 있을지 확인하기 위해 국내 전이성·국소진행성 위암 환자 29명으로부터 항암치료 전 채취한 혈액을 대상으로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실시했다. 29명 중 15명은 항암제 병용 요법에 효과가 나타났으며, 14명에게는 효과가 없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연구팀은 국내 전이성·국소진행성 위암 환자의 2개의 마이크로RNA(miR-30a-5p, miR-192-5p)가 과발현되면 플루오로피리미딘과 플래티넘 항암제 병용 요법이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인섭 서울아산병원 위장관외과 교수는 “항암제는 독성이 있어 치료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암이 진행되면서 환자의 건강 상태까지 악화하기 때문에, 암 환자 치료에 있어 첫 번째 약제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앞으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전이성·국소진행성 위암 환자에게 사용되던 항암제의 치료 반응 예측 도구가 거의 없었던 상황에서, 비침습적인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로 맞춤형 치료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이 이번 연구가 가지는 의의”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암 연구 분야의 국제학술지 ‘분자 암(Molecular Cancer, IF=27.410)’에 최근 게재됐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