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

보건복지부, 보건의료데이터·인공지능 혁신전략 본격 수립 나선다

기사입력 2021.03.25 17:09
  • 보건복지부가 본격적인 보건의료데이터·인공지능 혁신전략 수립에 나선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3월 26일(금) 개최한 제8회 헬스케어 미래 포럼을 통해 보건의료데이터 인공지능 혁신전략(안)(이하 혁신전략(안))을 제안했다.

    혁신전략(안)에는 보건 의료데이터 활용 실태 진단 및 글로벌 동향 분석, 비전과 전략, 분야별 주요 정책과제가 담겨있다.

  • 이미지=보건복지부
    ▲ 이미지=보건복지부

    현재 공공, 민간 모두 방대한 보건의료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그 경제적 가치는 최대 2조 원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일부 코호트 개방 및 공익적 연구에 아주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데이터 활용의 장애 요인으로는 ①폐쇄·독점적인 활용 문화·행태, ②쓸만한 데이터 부족, 불신과 보상·거버넌스 미흡으로 인한 ③막힌 데이터 흐름이 꼽힌다.

    이미 해외 주요국들은 국가 주도 전략 수립, 독자적 법제 마련, 높은 부가가치를 가진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지원정책을 대대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이미지=보건복지부
    ▲ 이미지=보건복지부

    이에 혁신전략(안)은 공공은 데이터 활용의 마중물이 되는 기반을 구축하고, 민간의 창의와 혁신이 주도하는 보건의료 데이터 생태계를 만드는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였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보건의료 데이터 생산-집적-활용 전 주기에 이르는 3대 핵심분야와 추진기반(인프라) 분야에서 11대 핵심 과제를 제안했다.

  • 이미지=보건복지부
    ▲ 이미지=보건복지부

    또한, 이번 포럼에서는 병원 임상데이터의 체계적인 중개·분양과 의료인공지능 창업기업(스타트업) 전 주기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한 의료인공지능 활성화 방안 제안과 창업기업(스타트업)들에 높은 병원의 문턱을 낮출 대안, 의료기관의 임상데이터 공유·활용 유인을 위한 인센티브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보건복지부는 오늘 논의를 시작으로 각 계가 참여하는 토론 등 사회적 논의를 거쳐 중장기 전략을 보완해 나갈 계획이며, 오는 5월 중에 국무총리 주재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통해 ‘보건의료 데이터 인공지능 혁신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