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삼성전자, 작년 영업익 35조9939억…역대 네 번째

기사입력 2021.01.28 10:25
4분기 매출 61조5500조…영업익 9조500억 전년비 29.62%↑
  • /조선DB
    ▲ /조선DB
    삼성전자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35조9939억원으로 전년 대비 29.62%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매출은 총 236조8070억원으로 전년 대비 2.78% 올랐다. 연간 영업이익은 2013년과 2017년, 2018년 이후 네 번째로 높았고, 매출도 역대 세 번째를 기록했다.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9조470억원, 매출은 61조551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각각 26.35%, 2.78% 올랐다. 디스플레이와 메모리 업황이 개선되면서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14.7%이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8.1% 감소한 61조5500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3조3000억원 감소한 9조500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가격하락, 세트 사업 매출 감소와 마케팅비 증가, 부정적 환율 영향 등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는 반도체 부문이 지난해 4분기 매출 18조1800억원, 영업이익 3조8500억원을 기록했다. 반도체의 경우 지난해 전반적인 시황은 양호했으나 4분기 들어 서버용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다소 하락했고,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 강세로 지난해 3분기(5조5400억원)보다 1조7000억원 가량 줄었다.

    메모리 반도체는 모바일∙소비자용 응용처 중심으로 수요가 견조했으나, 평균판매단가(ASP)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부정적인 환율 영향, 신규 라인 양산 관련 초기 비용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다. 시스템 반도체는 주요 글로벌 고객사 주문이 증가했으나, 달러 약세 영향으로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이익이 감소했다.

    디스플레이는 매출 9조9600억원, 영업이익 1조7500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회사는 중소형 디스플레이는 주요 고객사의 수요 강세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대폭 개선됐고, 대형 디스플레이는 비대면 서비스 확대로 인한 TV와 모니터 패널 수요가 지속되고 평균 패널 판매가격도 상승해 전분기 대비 적자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모바일(IM)의 영업이익은 2조4200억원, TV·가전(CE)은 8200억원, 디스플레이는 1조75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무선은 연말 경쟁이 심화되고 마케팅비가 증가해 매출 이익이 감소했으나 원가구조 개선 노력을 지속해 전년 수준의 견조한 두자릿수 영업이익률을 유지했다. 네트워크는 국내 5G 증설 대응과 해외 4G∙5G 매출 확대로 실적이 개선됐다.

    가전(CE)사업은 4분기 매출 13조6100억원, 영업이익 8200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TV 시장은 연말 성수기 선진시장 중심의 펜트업 수요 강세로 전분기 대비 확대됐다. 그러나 QLED∙초대형∙게이밍 모니터 등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했으나, 성수기 경쟁 심화와 각종 원가 상승 영향으로 실적은 전년 대비 소폭 둔화됐다.

    생활가전 시장도 신흥시장의 경제활동이 점차 재개되며 수요가 소폭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선진시장과 신흥시장 모두에서 전분기 대비 매출이 성장했다고 덧붙였다.

    4분기 환영향과 관련해, 달러화∙유로화 및 주요 이머징마켓 통화 대부분이 원화 대비 크게 약세를 나타내면서 부품사업 위주로 전분기 대비 약 1조4000억원 수준의 부정적 영향이 있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시설 투자는 약 38조5000억원으로 집계돼 2019년보다 43% 증가했다. 사업별로는 메모리 첨단 공장 전환 파운드리 EUV 5나노 공정 증설 투자로 반도체 투자비가 32조9000억원, 디스플레이도 QD 디스플레이 생산능력 확대 등으로 3조9000억원을 투자했다.

    ◆ 1분기 메모리·디스플레이 수익 하락 전망…모바일·가전 견조 예상

    삼성전자는 1분기는 '갤럭시 S21' 조기 출시 등에 따른 무선 호실적이 기대되지만, 메모리∙디스플레이 등 부품 사업 실적 악화로 전사 수익성 하락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메모리는 지속적인 모바일 수요와 데이터센터 수요 회복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환영향과 신규 라인 초기비용 영향으로 실적 하락이 예상된다"며 "시스템LSI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용 SoC∙CIS∙DDI 공급을 확대하고 파운드리는 EUV 5나노 SoC, 8나노 HPC 칩 생산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DP는 중소형 패널의 경우, 전분기 대비 실적이 상당폭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년 동기 대비는 OLED 채용이 확대돼 실적이 개선될 전망이다. 대형 패널의 경우, QD 기술 기반의 사업 구조 전환을 지속한다.

    무선은 '갤럭시 S21' 등 플래그십 제품 판매 확대와 중저가 신모델 출시 등으로 실적 개선을 전망했다. 가전은 계절적 비수기 속 판매 둔화가 예상되나, 신제품 적기 출시와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로 견조한 실적을 예상했다.

    올해 삼성전자는 글로벌 수요 회복을 전망하고, 메모리 반도체는 모바일과 서버 수요 견조세에 따른 상반기 내 업황 회복이 기대되나, 환율 등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도 예상했다. 삼성전자는 1z 나노 D램 및 6세대 V낸드 전환 가속화를 추진하고, EUV 적용 확대 등을 통해 원가 경쟁력과 시장 리더십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