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

인공지능, 3D 프린팅 등…임플란트, 디지털 기술 결합 가속화

기사입력 2021.01.11 11:03
  • 디지털 임플란트 분야 특허출원 건수가 2010년 41건에서 2019년 113건이 출원되며 연평균 12% 증가했다. 특허청은 이와 같은 사실을 밝히며, 이는 치과용 임플란트 분야에 인공지능, 3D 프린팅 등 4차 산업 기술이 결합한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 특허청이 공개한 디지털 임플란트 분야 특허출원은 같은 기간 전체 임플란트 출원 건수(‘10년 258건 →’19년 397건)의 연평균 증가율(5%)보다 2배가 넘는 증가세를 보였다.

  • 세부기술별 출원 동향(‘10~’19)은 구강스캐너 관련 출원이 46.1%, 시뮬레이션·컴퓨터 디자인 관련 출원이 33.8%, 기공물 가공 관련 출원이 20.1%를 차지했다. 구강스캐너가 디지털 임플란트를 위한 핵심기기로 여겨지는 만큼 이에 대한 출원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 출원인 유형별로 살펴보면(‘10~’19) 중견·중소기업이 50.8%(430건)를 출원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개인이 16.9%(143건), 대학·연구소가 8.1%(69건), 외국인 출원은 24.2%(205건)로 조사됐다. 대부분의 의료기기와 마찬가지로 치과용 디지털 임플란트 분야도 다품종 소량생산의 특성이 있어 중견·중소기업이 특허 출원을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 치과용 임플란트는 최근 3년 연속 국내 의료기기 생산 품목 중 1위를 차지했고, 수출액 증가율도 1위(33.9%)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다. 첨단 기술이 결합한 디지털 임플란트는 시술 편의성, 정확성, 인구 고령화, 그리고 개발도상국들의 소득 수준 향상 등 지속해서 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다.

    디지털 임플란트 과정은 구강 정보 획득, 모의 시술·치료계획 수립, 기공물 디자인, 수술 가이드 마련, 3D 프린팅(또는 밀링가공) 및 시술 단계로 구분되며, 전 단계에 걸쳐 디지털화가 이뤄진다.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임플란트 시술을 디지털로 전환하게 되면, 인상채득 대신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모형 배송 대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환자의 병원 방문 횟수,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디지털 방식은 아날로그 방식보다 편의성, 정확성 등에서 장점이 크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