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경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인공지능(AI) 범죄 예방 시범운영

기사입력 2020.12.28 14:45
‘범죄위험도 예측분석 시스템’ 시범 운영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경찰행정 활성화
  • ‘경찰청 빅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모델 / 사진=경찰청 제공
    ▲ ‘경찰청 빅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모델 / 사진=경찰청 제공

    경찰청이 인공지능 치안 서비스를 개발했다.

    경찰청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경찰 업무에 접목하기 위한 ‘경찰청 빅데이터 플랫폼’을 1단계 구축하고, 현장 적용의 첫걸음으로 ‘범죄위험도 예측분석 시스템’ 시범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경찰청 빅데이터 플랫폼’은 경찰이 보유하고 있는 치안데이터와 지역 환경 등의 공공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지역별 맞춤형 치안정책 수립과 선제적 현장 활동을 지원한다.

  • ‘범죄위험도 예측분석 시스템’ 화면 / 사진=경찰청 제공
    ▲ ‘범죄위험도 예측분석 시스템’ 화면 / 사진=경찰청 제공

    핵심 기능은 경찰 전용 데이터 댐을 구축해 경찰 업무에 필요한 치안·공공·민간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통합 관리하고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분석 도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향후 경찰청 빅데이터 플랫폼에 수집된 데이터와 분석 도구를 공동으로 활용해, 생활안전·교통 등 다양한 경찰 업무에 첨단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경찰청 빅데이터 플랫폼’의 데이터와 분석기능을 활용해 범죄 위험을 예측하고, 그 결과를 순찰과 방범시설 개선 등에 활용하는 ‘범죄위험도 예측분석 시스템’을 2021년 1월부터 시범 운영을 실시한 후 2021년 3월에 전국 시행 예정이다.

    범죄위험도 예측분석 시스템은 기존의 범죄발생 통계 중심의 단편적 분석에서 벗어나, 범죄통계·112신고 등 치안데이터와 인구·주요업종·건물유형 등의 공공데이터를 융합 분석한다.

    특히, 전국 시·군·구를 6개의 군집으로 분류(도시형 도농복합형 주거중심형 산업중심형 관광중심형 농림수산중심형)하여 지역별 특색을 최대한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 환경을 반영한 주요 범죄와 무질서 행위의 발생 위험도를 분석하고, 예측 결과를 기반으로 일선의 범죄예방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편의 기능을 제공한다.

    오는 2021년에는 ‘경찰청 빅데이터 플랫폼’의 성능을 강화하고 인공지능 활용모델의 개발 분야를 확장하여,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경찰행정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경찰청은 “앞으로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용 영역을 경찰 전반으로 넓혀 인공지능 치안 서비스를 개발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선제적·예방적 경찰 활동을 전개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