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로봇 전문기업 로보쓰리가 서울대 AI 연구원(AIIS)과 손잡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관하는 '인공지능(AI) 데이터 구축 사업'에 참여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추진 중인 '디지털 뉴딜' 대표 과제인 데이터 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국내 4839개의 기업, 기관이 참여하는 6449억원 규모의 대형 사업이다. 로보쓰리는 서울대 AI 연구원과 한컴로보틱스, 퓨처로봇 등과 컨소시엄을 맺고 총 2925억원이 투입되는 'AI 데이터 구축 사업'에 참여한다.
-
로보쓰리는 컨소시엄 기업들과 협력해 AI 학습용 데이터를 수집, 머신러닝을 활용해 학습한 후, 자체 개발한 최첨단 AI 안내 로봇 '러비'에 적용해 서비스할 계획이다. 러비는 깜찍한 디자인에다 모니터를 품고 있는 실내외 자율주행 사이니지 로봇으로, 로보쓰리의 18년 노하우가 집약된 '지능형 로봇 모빌리티 플랫폼'을 탑재해 영상과 음성으로 홍보물을 알리는데 최적화된 3세대 지능로봇이다.
2003년 설립된 중견 서비스로봇 전문기업인 로보쓰리는 독보적인 로봇 기술 설계 제조 기술을 앞세워 국내 서비스 로봇 산업을 선도해 온 코넥스 상장 기업이다. 지능형 로봇 모빌리티 플랫폼 기술과 세계 최초 AST(Automatic Straight Traveling) 시스템, 최첨단 항공 우주 기술을 적용한 국내 최초 셀프밸런싱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국내외 관련 원천특허를 20여개 취득해 로봇 업계의 대표 기업으로 손꼽힌다.
전 세계 서비스로봇 분야는 2017년 이후 연평균 28% 성장하고 있는 블루오션으로, 리서치업체 트랙티카는 2025년 시장 규모가 1593억달러(약 186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산업부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돌봄, 웨어러블, 의료, 물류 등 4대 분야 서비스로봇 개발 및 보급 사업을 적극 펼쳐, 2023년까지 15개 지자체, 810개 수요처에 약 1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김준형 로보쓰리 대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다양한 경험의 AI 데이터를 AI 안내로봇 '러비'에 적용하게 돼, 대고객 서비스 스펙트럼과 품질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가정과 업무 공간에 꼭 필요한 생활밀착형 AI 로봇을 선보여 생활로봇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로봇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성열휘 기자 sung12@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