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맥 운영체제용 악성코드, 전년 동월 대비 515% 급증…사설 유료 앱 위장 설치 많아

기사입력 2020.11.24 13:13
  • 최근 맥 운영체제용 악성코드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사인은 자회사 세인트시큐리티가 운영하는 멀웨어스닷컴(malwares.com)을 통해 최근 맥 운영체제용 악성코드가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라고 24일 밝혔다.

    세인트시큐리티 인텔리전스팀이 멀웨어스닷컴을 통해 수집한 맥용 악성코드를 별도로 분류하고 통계를 내본 결과, 2020년 10월 27,000건 이상 수집됐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약 515% 이상 증가한 수치다.

  • 이미지 제공=케이사인
    ▲ 이미지 제공=케이사인

    악성코드는 정식 앱스토어가 아닌 카페, SNS, 인터넷 검색 등으로 다운로드받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특히 사설 유료 앱을 위장해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스파이웨어나 랜섬웨어, 암호화폐 채굴 악성코드 형태가 많이 발견됐다.

    맥 운영체제는 보안 설정이 매우 까다롭다. 최근 출시된 ‘빅서(Big Sur)’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신뢰성과 권한 분리가 더 까다로워져서 악성코드 감염이 쉽지 않다. 하지만, 최근 분석된 사례와 같이 사용자도 모르게 일부 유료 앱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사용자도 반강제로 PC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PC를 보호하는 설정들이 무력화가 된다.

    김기홍 세인트시큐리티 대표는 “맥 컴퓨터의 하드웨어 특성상 사양이 높아 암호화폐 채굴 악성코드 타겟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며, “맥 사용자들은 신뢰할만한 소프트웨어 패키지 설치, 주기적인 보안 점검, 전용 백신 설치, 운영체제 패치 등 필수 기본 수칙을 지키는 것은 물론 보안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최근 다량 발생하고 악성코드로부터 PC를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멀웨어스닷컴은 국내외 악성코드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해 해당 정보를 공유하는 악성코드 수집, 분석 오픈 플랫폼으로, API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악성코드 수집처와 연계/연동되어 사용자 분석 요청을 포함한 국내외 악성코드 발생 동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맥용 악성코드는 멀웨어즈닷컴에서 검색할 수 있으며, 분석용 악성코드 샘플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