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일반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전국 확대에 임시 휴관 들어간 공공시설은?

기사입력 2020.08.24 11:26
  • 수도권으로 한정되었던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가 조치가 전국에 확대 적용됨에 따라 국립자연휴양림, 전시관, 박물관 등도 잇따라 긴급 휴관에 들어갔다.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숲속야영장 임시 휴관
  • 국립통고산자연휴양림 산림문화휴양관 /사진=산림청
    ▲ 국립통고산자연휴양림 산림문화휴양관 /사진=산림청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42개 국립자연휴양림·숲속야영장을 임시휴관 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19일부터 수도권 지역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시행에 따라 수도권 5개소 국립자연휴양림을 휴관하고 있으며, 금일 정부의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격상으로 37개 국립자연휴양림을 추가로 전면 휴관 조치하게 되었다.

    휴관 조치에 따라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상담사가 예약자에게 예약 취소를 안내하고, 본인이 예약을 취소한 경우를 포함하여 위약금 없이 전액 환불한다.

  • 문화재청, 실내 관람 시설 전면 휴관

    문화재청은 9일부터 수도권 소재 관람 시설에만 적용되던 휴관 조치를 23일 0시부터 전국의 문화재청 소관 실내 관람 시설 전체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국립경주·부여·중원문화재연구소 전시관, ▲천연기념물센터(대전광역시 소재) 등이 23일부터 휴관한다. 현재 휴관 중인 ▲국립고궁박물관, 궁궐·왕릉 전시시설·국립무형유산원 등에 내려진 휴관 조치를 비롯하여 궁궐 활용 행사·조선왕릉 제향 중단 조치 역시 지속한다.

    이번 조치까지 포함하여, 문화재청에서 휴관하는 관람 시설은 아래와 같다.

    - 8.18(화)부터 휴관: 국립무형유산원(전시실․책마루․공연장 등), 태안해양유물전시관
    - 8.19(수)부터 휴관: 국립고궁박물관, 덕수궁 석조전․중명전, 창경궁 온실, 조선왕릉 역사문화관 3개소(서오릉, 김포 장릉, 세종대왕유적관리소)
    - 8.22(토)부터 휴관: 목포해양유물전시관
    - 8.23 (일) 0시부터 휴관 예정: 천연기념물센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전시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전시실),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전시실)


    추후 재개 일정은 문화재청 누리집(http://www.cha.go.kr/)을 비롯해,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궁능유적본부(http://royal.cha.go.kr/), 국립무형유산원(http://www.nihc.go.kr/), 국립문화재연구소(http://www.nrich.go.kr/),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http://www.seamuse.go.kr/)를 통해 공지할 예정이다.

  • 문화체육관광부, 지방 소재 국립문화예술시설 추가 휴관

    문화체육관광부는 8월 19일(수)부터 휴관 중인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국립문화예술시설에 이어 지방의 국립문화예술시설이 지난 23일부터 휴관함에 따라, 중대본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전국 확대 결정으로 국립문화예술시설의 모든 운영을 중단했다.

    23일 추가 휴관한 곳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등 국립지방박물관 12곳(경주, 광주, 전주, 대구, 부여, 공주, 진주, 청주, 김해, 제주, 춘천, 익산), 국립현대미술관(청주관), 국립세종도서관 등 국립미술관·도서관 2곳 등 14곳, 국립민속국악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국립공연기관 2곳이며, 국립나주박물관, 국립남도국악원, 국립부산국악원은 지자체의 요청으로 이미 휴관 중이었다.

    국립문화예술시설의 재개관 시점은 코로나19 확산 추이를 보며 중대본과 협의해 결정할 계획이다.

  • 해양수산부, 전시·관람 시설 임시 휴관

    사회적 거리 두기 격상에 지난 23일 전국 해수욕장을 긴급 폐장한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 분야 전시 시설도 임시 휴관에 들어갔다.

    지난 21일 이미 휴관한 부산의 국립해양박물관, 국립수산과학관에 이어 23일부터는 국립해양과학관(경북 울진군 소재),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씨큐리움(충남 서천군 소재), 국립등대박물관(경북 포항시 소재)도 추가로 임시 휴관했다.

    해수부는 코로나19 확산세,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 조정 등을 감안해 이들 기관의 재개관 시점을 추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