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4차위, 코로나19가 불러온 디지털 경제 대전환 방안 모색

기사입력 2020.04.28 16:12
  • 전 세계가 코로나19를 계기로 온라인, 비대면 문화의 확산과 함께 국가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이하 “4차위”)가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정부 정책 권고 기능 강화 방안 등을 담은 “3기 4차위 운영 방향” 등을 모색하는 회의를 28일 가졌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올 한해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경제적 대변혁이 이루어지는 시기임을 고려, 4차위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변화 전망과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정부 정책 방향 및 4차위의 기여 방안에 대해 토의하였다.

  • 4차위의 디지털전환 가속화 계획 /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공
    ▲ 4차위의 디지털전환 가속화 계획 /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공

    4차위는 앞으로의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각국 정부가 비상 대책을 운영하는 가운데 새로운 뉴노멀(New Normal) 시대가 도래하리라 전망하였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면서 산업 전반의 풍경이 바뀌고 비대면 온라인 산업이 부상하고, 공급망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리쇼어링이 본격화되는 한편 국제사회의 리더십이 실종되면서 국제질서에도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가올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전 국민의 ‘생산적’ 정보 활용역량 제고와 분야별 디지털 혁신을 위한 맞춤형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이에 따라 4차위는 데이터 경제 기반 조성, 의료·교육 등 코로나19 사태로 부각된 디지털 혁신 취약분야 규제 개선, 그리고 인포데믹·프라이버시 침해 등 디지털 전환의 역기능 대응을 주요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정책을 권고·자문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 포스트-코로나와 디지털전환 /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공
    ▲ 포스트-코로나와 디지털전환 /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공

    이번 전체 회의를 주재한 윤성로 4차위 위원장은 “코로나를 계기로 AI·데이터·클라우드·5G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인프라에 기초한 온라인 교육, 비대면 진료, 언택트 산업 등이 새롭게 부상하고 있으며, 이 부분에 집중하여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향후 4차위는 이날 의결된 운영 방향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와 4차 산업혁명 관련 대정부 권고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