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인터넷

박정호 SKT 사장, 국내 기업간 'AI 초협력' 제안…"삼성전자·카카오와 논의"

기사입력 2020.01.09 10:20
CES서 고동진 사장과 AI분야 초협력 제안
사명 변경 계획도 밝혀…"텔레콤 떼고 '하이퍼커넥터' 의미 담을 것"
  •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로리스 더 프라임 립(Lawry's The Prime Rib) 레스토랑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있다/SK텔레콤 제공
    ▲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로리스 더 프라임 립(Lawry's The Prime Rib) 레스토랑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있다/SK텔레콤 제공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글로벌 AI(인공지능)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기업간 '초협력'을 이뤄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 사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AI 분야에서 대한민국 ICT 기업간 협력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며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초협력’을 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주요 기업간 AI분야 협력을 제안하겠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우선 협력 대상으로는 삼성전자와 카카오를 꼽았다.

    박 사장은 특히 이번 CES에서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과 미팅에서도 이 같은 AI분야 초협력을 제안했다. 이에 고 사장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카카오와는 작년 말 지분 스왑을 포함해 AI 분야 협력도 논의한 바 있다.

    박 사장은 "대한민국 주요 ICT 기업들에게 협력하자고 제안한다"며 "앞으로 기업들과 협력 방안을 잘 디자인해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SKT는 ‘초협력’의 중심에서 ‘하이퍼 커넥터(Hyper Connector)’ 역할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K텔레콤은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력에 이어 CES에서 앤디 제시 아마존웹서비스 CEO와 만나 클라우드에 대한 협력을 논의했다고도 소개했다.

    박 사장은 앞으로 SK텔레콤 사명을 바꾸고 통신기업이 아닌 '종합 ICT' 기업으로 변모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는 "현재 통신 매출이 전체 60% 수준인데, 50% 미만으로 내려가면 SK텔레콤이라는 브랜드 대신 이름을 바꿔도 되는 시작점에 와 있다고 판단한다"면서 "'하이퍼커넥터' 같은 종합 ICT 기업의 의미를 담은 이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SK텔레콤 자회사로는 IPTV 사업을 하는 SK브로드밴드, ADT캡스(보안), 11번가(커머스), 원스토어 등이 있고, SK텔레콤 내부에서도 모빌리티와 AI(인공지능) 등을 사업화할 수 있는데, 사명을 변경하면서 사업의 분리 상장 등 구조적인 변화가 따를 것이라는 설명이다.

    박 사장은 "회사가 성장하면서 구성원과 주주가 과실을 같이 가져가야 한다"며 "아직 계획이 구체화하지는 않았지만 올해 말부터 IPO(기업공개)를 시작해 주력 계열사가 앞으로 2∼3년 동안 IPO를 계속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