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일반

일 년 중 낮은 가장 짧고, 밤은 가장 긴 날 ‘동지’

기사입력 2019.12.22 06:30
  • 12월 22일인 오늘은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인 동지(冬至)다.

    동지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은 가장 긴 날이다. 옛사람들은 동지 이후부터 낮이 길어지는 것을 보고 태양이 부활한다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동지는 설에 버금간다는 뜻의 ‘아세(亞歲)’ 또는 ‘작은 설’이라 불렸다.

    중국 주나라에서는 동지를 설로 삼았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시대 충선왕 이전까지는 동지를 설로 지낸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역경(易經)’에는 동짓달을 일 년의 시작으로 삼고 있어 지금까지도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는 ‘동지첨지(冬至添齒)’ 풍속이 전해지고 있다. 이 외에 날씨가 춥고 밤이 긴 동지에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여겨 동지를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 사진=픽사베이
    ▲ 사진=픽사베이

    동짓날이 되면 민가에서는 악귀를 쫓기 위해 붉은 팥으로 죽을 쑤고 찹쌀로 새알심을 만들어 넣은 동지팥죽을 만들어 먹거나 벽이나 문짝에 뿌리기도 한다. 하지만 동지가 음력 11월 10일 안에 든 ‘애동지’에는 아이들에게 나쁘다고 해서 팥죽을 쑤지 않았다. 동지가 음력 11월 중순에 들면 중동지(中冬至),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한다.

    동짓날 부적으로 뱀 ‘蛇(사)’자를 써서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이면 악귀를 쫓고 뱀이 들어오지 못한다고 여기기도 했다. 동짓날이 추우면 해충이 적고 호랑이가 많다고 믿었으며, 동짓날 날씨가 따뜻하면 다음 해 병이 많아 사람이 죽고,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징조라고 여기기도 했다.

    고려와 조선 초기에는 동짓날이 되면 백성들이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기는 풍습도 있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