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드라마와 영화의 대사를 활용한 네티즌들의 ‘밈(Meme,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행동이나 말 등을 모방해 만든 사진이나 영상) ’ 덕분에 자고 일어나니 오래전 캐릭터가 재소환되어 유행이 되고, 스타를 만들어 내고 있다.
밀레니얼과 Z세대를 대변하는 디지털 놀이 문화로 주목받고 있는 ‘밈’ 현상은 10년이 넘은 영화, 드라마, 시트콤부터 20년이 다 된 광고까지, 그 어떤 것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시대에 맞게 재창조된 컨텐츠들은 그들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전혀 새로운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클리니컬 더마 브랜드 ‘셀퓨전씨’는 최근 ‘타짜 3’ 개봉과 함께 ‘곽철용 신드롬’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급부상한 배우 김응수를 자사 제품 모델로 발탁했다. 개봉한 지 13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회자되는 곽철용의 주옥같은 대사 하나하나를 패러디한 이번 영상은 밀레니얼 세대의 웃음 코드를 관통하며 화제가 되고 있다.
티저 ‘곽철용의 귀환’편에서 비장한 눈빛으로 누군가를 찾으러 가는 곽철용의 모습으로 호기심을 자아냈던 가운데, 본편 ‘곽철용의 비밀병기’편에서는 영화 ‘타짜’ 속 캐릭터를 유쾌하게 패러디하며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흥미로운 스토리로 풀어냈다.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공개된 지 2주가 채 되기 전에 200만 뷰를 돌파했다. 영상을 시청한 네티즌들은 곽철용 대사를 패러디 해 댓글을 남기고 자발적으로 카페, 커뮤니티로 영상을 퍼 나르며 브랜드와의 활발한 인터랙션을 이어가고 있다.
-
이러한 트렌드에 과거 영상을 패러디한 광고 역시 지속적으로 공개되는 분위기다.
정관장에서는 2006-7년 방영된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에서 나문희가 애교를 시도하며 “문희는~”이라고 한 대사를 활용한 광고를 선보였다. ‘문희’와 ‘문의’의 언어유희를 통해 “문의는 정관장이 좋은뎀”, “문의는 정관장이 받고 찌픈데”라고 말하는 장면을 통해 네티즌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
또, 롯데리아는 창립 40주년을 기념해 ‘라이스버거’를 재출시하며 지난 1999년 광고 모델로 활약했던 남희석을 발탁해 20년 전 과거를 그대로 재연한 모습을 유쾌하게 선보였다.
이에 네티즌들은 라이스버거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는 등의 2차 가공 영상을 통해 화답하는 모습을 보였다.
- 김경희 기자 lululal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