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초겨울엔 약한 추위에도 위험! 저체온증, 동상 등 ‘한랭 질환’ 예방법은?

기사입력 2019.12.01 07:00
  • 질병관리본부가 12월 첫 추위와 기습 추위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초겨울에는 신체가 추위에 덜 적응되어 약한 추위에도 한랭 질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인 한랭 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질환으로, 대처가 미흡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다.

  • 이미지=질병관리본부
    ▲ 이미지=질병관리본부

    지난 겨울(’18.12.1~’19.2.28) 질병관리본부의 ‘한랭 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로 접수된 한랭 질환자 수는 404명이었으며, 이 중 1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한랭 질환자는 65세 이상 노년층이 전체 환자 중 177명(44%)으로 가장 많았고, 고령일수록 저체온증과 같은 중증 한랭 질환자가 많았다.

    발생 장소는 길가나 집주변과 같은 실외가 312명(77%)으로 많았다. 발생 시간은 종일 꾸준했지만, 추위에 장시간 노출되고 기온이 급감하는 새벽·아침(0시~9시)에 163명(40%)의 환자 발생이 많은 편이었다.

  • 이미지=질병관리본부
    ▲ 이미지=질병관리본부

    올해는 특히 ‘겨울철 평균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지만 변동성이 클 것’이라는 기상청 전망이 있는 만큼 갑작스러운 추위에 따른 한랭 질환 발생에 철저히 대비가 필요하다. 한랭 질환은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 건강수칙을 잘 지키는 것으로도 예방할 수 있다.

    겨울철 건강을 위해서는 가벼운 실내운동을 꾸준히 하고, 적절한 수분 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내는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한다.

    외출 전에는 날씨 정보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능한 야외 활동을 줄이는 것이 좋다. 또한, 외출할 때에는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미지=질병관리본부
    ▲ 이미지=질병관리본부

    특히, 어르신과 어린이는 일반 성인보다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 보온에 신경 써야 한다.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 질환자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상승하고 증상이 악화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해야 한다. 실제 지난겨울 발생한 한랭 질환자 중 138명(34%)은 음주 상태였다.

    이밖에 낙상 방지를 위해서는 빙판길, 경사지거나 불규칙한 지면이나 계단을 피해 가급적 평지나 승강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장갑을 착용하여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해야 하며, 노인, 영유아,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자는 특히 더 주의해야 한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