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삼성 창업주 故이병철 회장 '사업보국' 정신 기린다...32주기 추도식

기사입력 2019.11.19 10:48
이재용 부회장 등 오너일가·계열사 사장단 참석 예정
창업주의‘도전정신’, ‘사업보국’, ‘인재제일’ 정신 기릴 듯
수출을 통한 국가 발전, 투자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 경제발전의 초석 다져
  • 삼성그룹의 창업주인 고(故) 호암(湖巖) 이병철 선대회장의 32주기 추도식이 19일 경기도 용인시 선영에서 열린다. 특히 올해는 삼성전자가 창립 50주년을 맞아 삼성가의 감회가 새로울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한국의 경제발전 역사와 함께 성장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한국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 100년 기업을 꿈구고 있는 시점이라 호암 이병철 회장의 창업정신이 더욱 절실한 시점이기도 하다.

    19일 호암재단에 따르면, 경기도 용인시 호암미술관 인근 선영에서 호암 이병철 선대회장의 32주기 추도식을 진행한다. 창업주의 손자인 이재용 부회장은 지난해에는 해외 출장 일정으로 참석하지 못했지만, 올해에는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등 가족들과 선영을 찾아 참배했다. 출장일정으로 미리 다녀간 것으로 보인다. 이건희 회장은 2014년 심근경색으로 병상에 있어 참가하지 못했다.

    호암 추도식은 삼성가외에도 창업주의 ‘도전정신’과 ‘사업보국’, ‘인재제일’ 정신 등을 기리기 위해 삼성 주요 계열사 사장단도 집결한다. 김기남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및 삼성전자, 삼성물산 등 계열사 사장단도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권오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회장과 윤부근 회장, 신종균 부회장 등도 자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병철 선대회장은 지난 1969년 1월13일, 종업원 36명에 자본금 3억3000만원의 소기업 '삼성전자공업'을 창업해 대한민국의 수출 역군으로 키워나갔다. 삼성전자를 세계 시장에 관련분야 1등 기업으로 키우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시켜 한국 역사를 써 내려온 경영인이다. 이 선대회장은 주위의 만류와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래산업의 핵심으로 부상할 ‘반도체’를 차기 사업으로 낙점했다.

    "반도체사업은 나의 마지막 사업이자 삼성의 대들보가 될 사업"
    고(故) 호암 이병철 삼성 창업주는 생전에 오랜 지인들을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한다. 이병철 창업주가 마지막으로 뛰어든 사업이 바로 반도체다. 처음부터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을 잘한 것은 아니다. 미국과 일본에 기술력이 10년 이상 뒤처져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병철 창업주가 전면에 나선 것도 같은 이유다. 그는 우수한 시설과 첨단 기술을 갖고도 부진을 면하지 못하는 이유는 경험 부족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본격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했다. 수많은 국내외 전문가들을 만나 반도체 사업에 대한 장래성, 사업 전략 등에 대해 물었다. Semiconductor를 반도체(半導體) 번역한 오타니 다이묘 산켄전기 회장도 여러 차례 만났다.

  • 1938년 설립한 삼성상회/호암재단 제공.
    ▲ 1938년 설립한 삼성상회/호암재단 제공.



    특히 그는 국가발전에 대한 애국심이 강했다고 전한다. ‘사업보국’을 경영이념으로 삼은 것만봐도 그의 국가관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기업은 수출을 통해 국가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것이다. 삼성의 이러한 경영이념은 수출을 통한 국가 발전, 투자를 통한 일자리를 창출, 상생을 통해 사회 공헌이라는 지금의 기업 정신을 만들었다.

    1910년 경상남도 의령에서 태어난 호암 이병철 선생은 1938년 대구에서 삼성상회를 설립한 이래 삼성전자를 비롯한 많은 기업을 일으켜 국가경제 발전에 크게이바지 하였으며, 1961년에는 한국경제인협회(현 전경련)를 발의하고 초대회장에 추대되었다. 1965년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명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삼성문화재단을 설립, 1980년대에는 특유의 통찰력과 선견력으로 반도체 산업에 진출, 한국 첨단산업의 발전기반을 마련했다.
  • 고(故) 호암 이병철 삼성 창업주와 신입사원들간의 대화/호암재단 제공.
    ▲ 고(故) 호암 이병철 삼성 창업주와 신입사원들간의 대화/호암재단 제공.
    호암은 사업보국(事業報國), 인재제일(人材第一), 합리추구(合理追求)의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불모의 한국경제를 오늘에 이르기까지 발전해 오는데 초석을 다졌다. 특히 문화 예술, 교육, 언론 등 사회 각 분야의 고른 발전에도 큰 업적과 교훈을 남겼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범(汎)삼성가인 CJ와 신세계, 한솔 등도 별도의 추모식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기업은 지난 2012년 고 이맹희 CJ그룹 명예회장과 이건희 회장 사이의 상속 재산 분쟁 이후 삼성 측과 별도로 추모식을 치르고 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