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100년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덕수궁에서 펼쳐지는 ‘기억된 미래’ 전

기사입력 2019.09.03 18:59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와 국립현대미술관은 ‘덕수궁-서울 야외 프로젝트’를 오는 5일부터 내년 4월 5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덕수궁-서울 야외 프로젝트: 기억된 미래'는 지난 2012년과 2017년 고궁에서 펼치는 현대미술의 향연으로 대단한 호평을 끌어냈던 ‘덕수궁 야외 프로젝트’의 계보를 잇는 건축전이다.

    특히 이번 ‘기억된 미래’는 고종황제 서거와 3·1 운동이 있었던 1919년으로부터 100년이 흐른 2019년, 대한제국 시기에 품었음직한 미래 도시를 향한 꿈들을 현대 건축가의 시각과 상상으로 풀어냈다.

  • ‘덕수궁-서울 야외 프로젝트’에 참여한 작가들 / 사진=디조닷컴
    ▲ ‘덕수궁-서울 야외 프로젝트’에 참여한 작가들 / 사진=디조닷컴

    이번 전시는 스페이스 파퓰러, CL3, 뷰로 스펙타큘러, OBBA, 오브라 아키텍츠 등 아시아 지역에서 활동하는 건축가 5팀이 참여했다. 특히 ‘개항’과 ‘근대화’라는 역사적 맥락을 같이하는 아시아 주축 건축가들이 한국의 살아있는 근대문화유산을 배경으로 새로운 작품을 구상, 연출, 설치했다.

  • 광명문의 ‘밝은 빛들의 문’ /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제공
    ▲ 광명문의 ‘밝은 빛들의 문’ /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덕수궁을 들어와 처음 마주하게 되는 광명문의 ‘밝은 빛들의 문’은 스페이스 파퓰러(라라 레스메스, 프레드리크 헬베리)가 광명문의 이름에서 영감을 얻어 빛의 스크린을 설치하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가상의 공간을 연출했다.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해 픽셀로 장식된 우리 시대의 ‘밝은 빛들의 문’을 통해 새로운 궁으로 들어서는 길을 열고 있다고 설명했다.

  • 함녕전 ‘전환기의 황제를 위한 가구’ /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제공
    ▲ 함녕전 ‘전환기의 황제를 위한 가구’ /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고종황제의 침전이던 함녕전 앞마당에는 홍콩 건축가 CL3(윌리엄 림)의 ‘전환기의 황제를 위한 가구’가 설치됐다. 황실의 가마와 가구에서 영감을 받은 작가는 샤를로트 페리앙(Charlotte Perriand)의 라운지 의자 등 20세기 서구에서 실험되었던 가구의 형태들과 조합하여 6개의 가구 유형을 디자인했다.

    특히 전환기의 황제를 위해 디자인한 바퀴 달린 가구를 통해 이동성과 변위, 융통성 개념을 탐구한다. 관람객들은 마당에 배치된 가구들에 직접 앉아보며 동서양이 만나던 대한제국기의 황제의 일상적 삶을 상상할 수 있다.

  • 중화전 앞 ‘대한연향(大韓宴享)’ / 사진=디조닷컴
    ▲ 중화전 앞 ‘대한연향(大韓宴享)’ / 사진=디조닷컴

    덕수궁의 법전인 중화전 앞에는 ‘2018년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건축부분(문체부 장관 표창)을 수상한 OBBA(곽상준, 이소정)의 ‘대한연향(大韓宴享)’을 만나게 된다.

    과거 중화전 앞에서 열렸던 연향(궁중잔치)에는 가리개처럼 기능에 따라 공간이 새로 창출되는 ‘변화 가능성’을 가진 장치들이 동원되었다. 이러한 전통 구조물에서 영감을 얻은 이 작품은 오색 반사필름으로 시시각각 바람에 반응하여 춤추듯 화려한 색의 그림자로 매 순간 변화하는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 석조전 분수대 앞 ‘미래의 고고학자’ / 사진=디조닷컴
    ▲ 석조전 분수대 앞 ‘미래의 고고학자’ / 사진=디조닷컴

    석조전 분수대 앞에는 대만계 캐나다 건축가 뷰로 스펙타큘러(히메네즈 라이)가 ‘미래의 고고학자’라는 작품을 통해 관객들을 만난다.

    작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먼지가 쌓여 단층을 만들 듯, 수세기 후 지면과 우리와의 관계를 수직적으로 보여준다. 관람객들은 솟은 평면들을 연결한 계단을 올라 수세기 뒤 미래의 한 시점에 도달하고 발 아래 2019년을 과거로서 바라보게 된다.

  • 서울관에 설치된 ‘영원한 봄’ /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제공
    ▲ 서울관에 설치된 ‘영원한 봄’ / 사진=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덕수궁관에 이어 서울관의 미술관 마당에는 서울시 공공건축가로 활동 중인 오브라 아키텍츠(제니퍼 리, 파블로 카스트로)의 120㎡(약 36평) 초대형 파빌리온 온실, ‘영원한 봄’이 9월 11일 공개된다.

    가을과 겨울 전시기간 동안 봄의 온도 항상성을 유지하는 온실로, 파빌리온을 덮은 투명 반구체들을 통해 빛이 실내를 환하게 밝힌다. 작품명은 자유롭고 공정한 사회를 지향해 온 인류 역사가 ‘프라하의 봄’, ‘아랍의 봄’ 등 봄으로 불리는 시적인 은유에서 착안했다. 동시에 작가는 오늘날 전 지구적 문제로 떠오르는 기후변화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덕수궁 프로젝트’는 첫 회인 2012년에 35만 명, 2017년에는 90만 명이라는 관람객 수를 기록한 만큼 올해에도 폭발적 반응을 기대한다”며 “세계적인 현대 건축가들의 유연한 건축 정신과 살아있는 한국 문화유산의 융합을 통해 국내․외 관객들에게 새로운 미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