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기존 항암제 대체할까? 국내 자생 ‘상동나무’, 뛰어난 항암 효과 입증

기사입력 2019.08.07 16:04
  • 국내 자생하는 상동나무 추출물이 암세포 생장 억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과 같은 바닷가에 분포하는 상동나무는 예로부터 감기, 발열, 간염, 피부병 치료 등에 사용되어 왔다.

  • 상동나무 /사진=산림청
    ▲ 상동나무 /사진=산림청

    최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안동대학교 원예·생약융합부 정진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를 통해 국내 자생 상동나무 추출물에서 대장암과 폐암의 항암 효과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연구에 따르면, 국내 자생 상동나무 추출물은 정상 세포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대장암과 폐암 세포를 사멸시키는 효과가 뛰어났다. 또한, 기존 대장암 항암제와 비교했을 때도 암세포 억제 효과가 현저히 앞섰다.

  • 상동나무 잎과 열매 /사진=산림청
    ▲ 상동나무 잎과 열매 /사진=산림청

    인간의 대장암과 폐암 세포에 상동나무 잎과 가지 추출물을 처리해 엠티티(MTT) 분석한 결과, 50μg/ml 농도일 때 각각 53.6%, 72.2%의 암세포 생장이 억제되었고, 100μg/ml 농도에서는 77.0%와 82.0%가 억제되었다. 정상 세포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대장암 치료에 사용되는 기존 항암제와 비교했을 때도 상동나무 가지와 잎 추출물이 더 효과가 뛰어났다. 같은 농도(50μg/ml)로 비교해 보았을 때 기존 항암제인 5-플루오로유라실(5-Fluorouracil, 5-FU)은 11.4%의 억제 효과를 보인 반면, 상동나무 가지 추출물은 63.6%, 잎 추출물은 43.2%의 우수한 암세포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상동나무 잎과 가지 추출물이 암세포에서 비정상적인 세포 생육을 유도하는 사이클린 디원(Cyclin D1)의 발현을 억제하고, 종양 발생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윈트/베타카테닌(Wnt/β-catenin)을 분해해 대장암 및 폐암세포의 생육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 상동나무 자생지(청산도) /사진=산림청
    ▲ 상동나무 자생지(청산도) /사진=산림청

    이번 연구 결과는 보완대체의학 국제학술지인 비엠씨 컴플리멘터리 엔드 얼터네이티브 메디신(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과 한국자원식물학회지에 게재되었으며, 국내 특허 출원도 완료됐다.

    산림약용자원연구소 김만조 소장은 “상동나무는 기존 항암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식물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다”며, “상동나무의 식품 원료 등록을 위해 다양한 기능성 평가와 활성 물질에 대한 분석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