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올해 상반기 ‘땅값’ 세종>광주>서울 순으로 많이 올랐다

기사입력 2019.07.25 16:30
  • 올해 상반기 땅값이 땅값 세종>광주>서울 순으로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 거래량은 대구를 제외한 전 지역 모두 감소했다.

    국토교통부는 25일 올해 상반기 전국 땅값이 1.86% 상승했으며, 전년 동기(2.05%) 대비 0.19%p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국 땅값은 2018년도 3분기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이후 안정세로 진입해 유지 중이다.

  • 2019년 상반기 시군구별 지가변동률 색인도 /이미지=국토교통부
    ▲ 2019년 상반기 시군구별 지가변동률 색인도 /이미지=국토교통부

    전년 동기 대비 지역별 지가변동률은 수도권은 소폭 증가(2.14%→2.15%), 지방은 감소(1.90%→1.38%)했으며, 17개 시‧도의 땅값은 모두 상승했다.

    서울(2.28%), 경기(2.06%), 인천(1.91%)은 모두 전국 평균(1.86%)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상승했다. 지방은 세종(2.66%)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광주, 대구, 전남, 부산 4개 시·도는 전국 평균(1.86)보다 높았다.

    시군구별로는 용인 처인구(3.73%)를 비롯해 경기 하남시(3.21%), 대구 수성구(3.05%), 경기 과천시(2.92%), 광주 동구(2.90%)가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울산 동구(-0.84%), 창원 성산구(-0.79%), 창원 의창구(-0.77%), 경남 거제시(-0.73%), 창원 진해구(-0.71%)는 하락했다.

    이용 상황별로는 상업용(2.05%), 주거용(1.88%), 답(1.77%), 전(1.76%), 임야(1.21%), 공장용지(1.13%), 기타(1.04%)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2019년 상반기 시도별 토지거래량 증감률 색인도 /이미지=국토교통부
    ▲ 2019년 상반기 시도별 토지거래량 증감률 색인도 /이미지=국토교통부

    2019년 상반기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 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134만 9천 필지(986.1㎢, 서울 면적의 약 1.6배)였다. 이는 서울 면적의 약 1.6배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전년 하반기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이후 거래 심리 위축 등으로 주택 매매·분양권 거래량 중심으로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53만 1천 필지(916.5㎢)로 전년 동기 대비 6.3%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전년 동기 대비 토지 거래량이 대구(3.0)만 증가했고, 세종(△58.4), 서울(△35.7), 광주(△31.7), 제주(△27.1) 등 16개 시·도는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경기(0.1), 대구(0.1)는 소폭 증가, 울산(△29.8), 제주(△21.6), 광주(△19.0), 대전(△17.9) 등 15개 시·도는 감소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9·13 대책 발표 이후 부동산 시장안정, 거래관망세 지속 등으로 전국 지가변동률 안정세 유지 및 전체 토지 거래량 감소 추세라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