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휴가철, 꼭 알아야 할 휴가지 안전사고 예방법

기사입력 2019.07.14 09:00
  • 여름 휴가철을 맞아 바닷가나 산에서 피서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여름 휴가철, 피서지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을 위해서는 어떤 주의가 필요할까?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여름 휴가철 안전사고 예방법을 소개한다.

    바닷가 안전사고 예방법
  • 사진=픽사베이
    ▲ 사진=픽사베이

    최근 5년(’14~’18년)간 여름철(6~8월) 물놀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총 165명이며 휴가 기간(7월 중순~8월 중순)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또한 모래톱이나 부둣가 등 연안에서 발생하는 사고도 7~8월에 455건이나 발생했다.

    방파제나 갯바위와 같이 미끄럽고 추락하기 쉬운 곳에는 올라가지 말아야 한다. 부득이 출입해야 할 때는 사고 발생 시 위치를 알릴 수 있도록 반드시 휴대전화나 호루라기를 소지한다.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갯벌은 밀물과 썰물의 수위 차이가 커서 순식간에 물이 차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고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한다.

    소형선박 및 레저 보트를 이용할 때는 긴급 상황 발생 시 자신의 위치를 해양경찰청과 소방청에 전송해주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해로드(海road)를 미리 설치해두는 것이 좋다.

    수영복을 입고 과도하게 햇빛에 노출되면 일광화상 등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일광화상으로 부상 당한 환자는 7월에 2배 이상 급증했으며, 7~8월 동안 전체 환자의 53%(30,365명)가 발생했다. 물놀이 전에 자외선차단지수(SPF) 15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2~3시간 간격으로 발라주면 일광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산행 안전사고 예방법
  • 사진=픽사베이
    ▲ 사진=픽사베이

    행정안전부 재난연감에 따르면 최근 5년(’13~’17)간 등산 사고는 총 37,115건이었으며, 여름 휴가철(7~8월)에 발생하는 사고가 16.3%(6,066건)를 차지했다.

    여름 산행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로 신체에 피로도가 빨리 누적되고 근육에 무리가 가면서 사고 발생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산행 중간에 적절한 휴식을 취해야 하고, 땀을 많이 흘려 체내의 수분 손실이 커지므로 물을 꾸준하게 섭취해야 한다. 더운 날씨로 일사병에 걸릴 가능성도 큰 만큼 두통‧어지러움‧구역질‧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면 즉시 멈추고 서늘한 곳에서 쉬어야 하며, 증상이 계속되면 병원에 가야 한다.

    산행 시에는 진드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진드기로 인한 환자 수는 33,180명이며, 7~8월이 각 3,911명으로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했다. 진드기를 예방하려면 산에 오를 때 소매가 긴 옷을 입거나 토시를 착용하며, 풀이 많은 곳에 함부로 앉거나 눕지 않아야 한다.

    휴가지 이동 시 차량 안전 요령
  • 사진=픽사베이
    ▲ 사진=픽사베이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14~’18)간 7~8월 기간 교통사고는 총 971,323건(전체 16.7%)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3,606명의 사망자와 1,567,156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특히, 2018년 통계를 살펴보면, 7~8월의 졸음운전 사고는 평균 133.5건으로 전체 평균 108건보다 많이 발생했다.

    차량 이동 시 창문을 닫은 채로 운전하면, 에어컨을 틀면 잠이 오기 쉽다. 따라서 1시간 단위로 창문을 열어 환기하고, 졸음이 올 때는 졸음쉼터나 휴게소에서 반드시 쉬어간다.

    최근에는 렌터카 이용률이 증가하는 만큼 렌터카 교통사고도 잦아(4,342건) 평소 운전하던 차량과 조작법이나 크기가 다른 차량을 운전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운전면허를 취득한 지 얼마 안 되거나 운전이 미숙한 경우 렌터카를 빌리기 전에 반드시 조작법을 숙지해야 하며, 운전할 때는 감속 운전, 안전거리 확보 등 안전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