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항암요법연구회가 19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4회 대한항암요법연구회 기자간담회’를 통해 최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이하 ASCO)에서 발표된 암 치료 관련 주요 임상 결과와 암 치료에 대한 최신 트렌드를 공유했다.
-
‘The Earlier, The Better’를 주제로 첫 번째 발표를 진행한 이윤규 교수(강북삼성병원 종양혈액내과)는 “최근 ASCO 같은 국제학회에서도 암 치료에 있어서 진단과 치료에 관련된 전문가인 외과, 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병리과 전문의들이 모두 모여서 치료법을 결정하는 다학제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치료 방향에도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수술, 방사선 등 암을 제거하는 국소치료 후 주변이나 원발장기로 미세암 전이를 막기 위한 보조항암치료를 하는 전형적인 암 치료 패턴을 벗어나, 수술의 성적을 향상시키고 전체 생존률을 높이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암 치료가 점점 복잡해지면서, 환자에게 최선의 치료 계획을 세워주는 다학제적 진료가 강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에 미세 전이 병소를 제거하기 위해 쓰던 보조 항암치료를 수술 전에 시행하는 것(neoadjuvant, 선행암치료)은 미세암 전이를 줄이고, 수술 성적을 높이며, 약제의 효과를 미리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직장암, 유방암 등과 같은 암에서는 선행항암치료 후 수술, 보조항암치료를 진행하는 항암 치료 순서가 이미 정립됐다. 최근에는 대장암, 폐암, 비인두암, 육종 같은 종양에서도 수술 전 항암치료를 진행하고 있고, 이번 ASCO에서도 관련 연구 데이터들이 발표됐다.
이윤규 교수는 “선행항암치료가 모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초기 암 등에 불필요한 치료를 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지만, 수술 효과를 높이고, 장기기능을 살릴 수 있어 보편화되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암 치료의 새로운 치료제인 면역항암제는 4기 전이암 치료를 위해 사용되다가 수술이 가능한 병기인 1~3기 초기 암 환자들에게 사용되면서 그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면역항암제는 기존 세포독성항암치료에 비해 비교적 독성 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선행항암치료가 부담스럽지 않은 것도 장점이다.
이윤규 교수는 “아직 초기 임상 결과로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기 위해 시간이 더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흐름상 향후 몇 년 이내에 1~3기의 초기 암에서도 면역항암제가 보다 활발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외에 임상 연구에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발표도 진행됐다. 바이오마커는 단백질이나 DNA, RNA(리복핵산), 대사 물질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로 약물에 대한 반응 정도 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신약개발에 있어 안전성 확보는 물론 비용 절감 효과까지 바라볼 수 있다.
두번째 주제인 ‘바이오마커의 시대’를 발표한 김미소 교수(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는 “이번 ASCO에서도 바이오마커에 기반한 신약 임상연구와 약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다수 발표됐다”며, “바이오마커 전략을 사용한 임상연구를 토대로 일부 폐암이나 유방암 등에서 획기적인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미충족 수요가 큰 전이암 환자에서 새로운 바이오마커의 발굴과 이를 토대로 한 임상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한항암요법연구회 강진형 회장은 “최근 ASCO에서 국내 연구자들의 주요 발표가 이어지고 있다”며, “대한항암요법연구회는 이번 ASCO에서 국내 임상연구의 역량을 알리기 위해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KoNECT)과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했다. 앞으로도 국내 암 관련 임상연구의 질적 성장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한항암요법연구회는 ‘암 임상연구 정보 검색 플랫폼’을 오픈했다. 암 임상시험에 대한 정보를 관심 분야, 지역 등에 따라 검색할 수 있는 해당 플랫폼은 대한항암요법연구회 홈페이지(www.kcsg.org)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대한항암요법연구회’ 또는 ‘KCSG’로 확인할 수 있다.
- 김정아 기자 jungy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