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직장인 여름휴가 준비 잘 하고 있나요? ‘직장인 여름휴가 에티켓 백서’

기사입력 2019.06.10 09:46
  • 워라밸 문화가 사회전반으로 확산되고 지난해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등을 통해 여가와 휴식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한 해 가장 길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여름휴가는 직장인들이 가장 기다리는 기간이다. 하지만 잘 쉬는데도 직장 동료간 사소하지만 중요한 에티켓이 있다.

    스카이스캐너가 여름휴가 시즌을 앞두고 ‘직장인 여름휴가 에티켓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8일부터 15일, 설문에 응답한 직장인 546명이 여름휴가를 계획하거나 보낼 때 회사로부터 불편했던 경험을 위주로 조사했다.

  • 이번 조사결과, 여름휴가와 관련해 가장 많이 경험한 불편한 사례(복수응답)로는 ‘휴가 일정을 확정해주지 않을 때(22%)’가 꼽혔다. 이어 ‘휴가 일정을 취소 또는 변경하라는 요구를 받는 경우(20%)‘, ‘휴가 기간 중 카톡 등 업무 관련 문의가 오는 경우(17%)’, ‘일방적인 휴가 일정 지정(17%)’, ‘여름휴가 동행인 또는 경비 등을 꼬치꼬치 캐묻는 경우(11%)’가 뒤이었다. 휴가 일정에 대한 불만이 높은 것은 일정에 따라 항공권과 숙소 가격의 차이가 크고, 미리 예약하는 것이 좋은데 휴가 일정이 늦게 확정되면 상대적으로 비싸게 휴가를 떠날 수밖에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 여름휴가를 편안하게 보내기 위해 비법으로는 ‘인수인계를 잘 하고 간다(29%)’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는 ‘야근을 해서라도 휴가기간 중 해야 할 일을 다 끝낸다(23%)’, ‘연락이 오더라도 무시한다(12%)’, ‘전화를 못하도록 로밍을 안 한다(11%)’, ‘카톡 등 상태표시창에 ‘휴가’라는 표현을 한다(6%)’ 순이었다. 이외에도 ‘휴대전화을 꺼둔다(3%)’, ‘와이파이나 통신연결이 어려운 곳으로 여행을 간다(1%)’, ‘업무용 대화방(카톡, 밴드)을 나간다(1%)’ 등이 있었다.

  • 반대로 동료가 여름휴가를 온전히 보낼 수 있게 노력한 항목으로 가장 많이 꼽힌 것은 ‘인수인계를 철저히 받는다’와 ‘휴가를 떠난 동료에게 카톡 등 일체의 연락을 하지 않는다’가 24%로 공동 1위를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는 ‘비즈니스 파트너나 사내에 동료의 휴가를 안내한다(22%’)가 뒤를 이었다.

  • 한편, 이번 조사에서 직장인이 선택한 최적의 여름휴가 보고 시점은 1개월 이전(73%)로 조사됐다. 그 다음으로는 2주전(17%), 1주일전(7%) 순이었다. 눈치 보지 않고 필요할 때 쓰는 게 연차지만 업무 일정을 고려해 최소한 한달 전에 여름휴가 기간을 보고해 일정을 조율하는 것이 직장인의 여름휴가 에티켓 인 것으로 보인다.

최신뉴스